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스&인터뷰] “글과의 거리두기, 드디어 끝났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판단을 내릴 수 있어야 맞는 거죠. 미래사회는 어떤 모습일까 고민했습니다. ‘우리 할머니들이 깨어날 때’가 그리는 디스토피아죠. 여성들의 판단을 지연시키고 또 지연시키는 극단의 사회는 고령의 시체를 깨워 돌봄 노동을 맡길 것 같았거든요. Q. 소설에서 ‘모두가 돌봄을 하는 ... ...
- [이달의 책] 동물들이 알려주는 우리 모두의 리더십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그들의 집단 속에서 현재까지 성공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면, 보다 나은 리더십을 찾는 우리 인간에게도 유용한 가르침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불공평하지만 성공적인 꿀벌 사회, 불평등하지만 통합을 이루는 흰동가리, 미어캣 사회는 불평등한 사회에서 리더가 가져야 할 리더십을 확인할 수 있다. ... ...
- [People] 62조까지 원주율 계산한 기네스 세계 기록 보유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거지요. Q. 구글이 원주율 세계 신기록을 깼는데 다시 신기록을 되찾아올 계획이 있나요?우리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연구 프로젝트에 필요한 성능을 갖췄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 원주율을 계산했어요. 이 사실을 이미 확인했기 때문에 현재는 원주율이 아닌 다른 연구 목표에 ... ...
- [러셀 탐구생활] 제3장 의심에서 싹튼 수리철학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이날 생각이 여기까지 닿자 저는 소스라치게 놀랐습니다. 만약 이 생각이 맞다면 우리의 세계관을 이루는 수많은 개념을 폐기해야만 하니까요. 선과 악의 문제, 처벌과 보상의 정당성, 삶의 의미마저 모두 불분명해집니다. 그러나 저는 이 생각 앞에서 무기력감보다는 경탄과 호기심을 더 크게 ... ...
- 첫 번째 질문 l 허수는 어떻게 받아들여 졌는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일이 가진 장단점이 있나요? 수학자 복소평면의 도입은 필연적이었다고 생각해요. 우리가 수직선 상에 수를 표현할 때 자연수부터순으로 채우고 0을 기준으로 반대쪽에 음수를 채웁니다. 그다음 사이사이에 유리수와 무리수를 채우면 실수라는 직선이 완성되지요. 그런데 a + bi라는 복소수는 실수 ... ...
- [지구사랑 탐사대] 대한민국 대표 시민과학 프로젝트 지구사랑탐사대 2023년 11기 모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16일부터 지구사랑탐사대 11기 대원을 모집합니다. 지구사랑탐사대는 생태 전문가와 함께 우리 주변의 생물종을 탐사하고 기록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예요. 팝콘플래닛 시민과학콘에 탐사기록을 올려주면 실제 생태 연구자들이 논문을 쓰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합니다. 가족과 함께 자연을 ... ...
- [퍼즐마법학교] 수정 구슬에 갇힌 교장 선생님을 구하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영혼 이동 마법을 알게 되면 마법 세계가 위험해질 수 있단다. 그러니 오늘 일은 우리만의 비밀로 하자꾸나.”위대한 마법사들과 비밀을 나누다니! 약속을 꼭 지키겠다고 다짐했지.“어쩌면 네가 내 뒤를 이어 네 가지 마법을 모두 쓸 수 있는 두 번째 마법사가 될지도 모르겠구나···.”프랙탈이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덮고 있는 거예요. 이 털이 빛을 산란시켜 우리에게는 북극곰이 하얗게 보이는 거죠. 우리가 북극곰에 대해 잘 모르고 있던 사실은 이것뿐만이 아닙니다. 북극곰은 시속 40km로 달릴 수 있습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빠른 사람인 100m 세계신기록 보유자 우사인볼트의 100m 달리기 속도는 시속 약 36km(100m, ... ...
- [러셀 탐구생활] 달콤한 첫사랑, 수학의 배신수학동아 l2023년 02호
- 기하학의 낙원 위로 해일이 덮쳤고, 러셀은 파도에 떠밀려 허우적댔습니다. 기하학조차 우리에게 확실한 앎을 주지 못한다면 도대체 확실한 앎이란 가능한 것일까요? 평행선 공준조차 증명하지 못하는 인간이 어떻게 신의 존재나 삶의 가치나 선과 악에 대해서 논할 수 있다는 것일까요? 어느덧 ... ...
- [Rethinking] 두 번 째 질문, 기호 x가 수학에 끼친 영향은?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상황을 접근하고 또 그걸 기하적으로도 생각해보는 과정이 주는 굉장한 이점이 있어요. 우리는 단순히 (x + y)2 = x2 + 2xy + y2 이라는 공식을 외우는데 그걸 그렇게 기호화하지 않고 (x + y)2 을 도형으로 표현하는 등 실체 그대로 접근을 했을 때 느껴지는, 손에 만져질 것 같은 흥미진진한 수학이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