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적
용적량
분량
함유량
산출량
d라이브러리
"
용량
"(으)로 총 1,264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디지털 미디어 DVD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저장
용량
은 디스크의 구조,피트의 길이, 트랙의 폭 등에 의해 결정된다. DVD의 디스크
용량
이CD와 비교할수 없는 고밀도를 가질 수 있는 이유 역시 이 때문이다. 즉 DVD는 최소 피트의 크기가 0.83㎛인 CD보다 작은 0.4㎛이고, 트랙의 폭도 CD의 1.6㎛보다 좁은 0.74㎛로 설계됐다.디스크의 데이터 기록면이 0. ... ...
웹브라우저 넷스케이프 VS 익스플로러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넷스케이프를 선호하자 얼마전 인터넷 사업에 뛰어든 마이크로소프트는 이에 대항할
용량
으로 자사의 브라우저(익스플로러)에 비슷한 개념의 인라인(In-Line)기능을 제공하고 있다.현재까지 발표된 플러그인 프로그램의 종류로는 다양한 형태의 파일을 즉석에서 볼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파일 뷰어, ... ...
1. 생활 속의 디지털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영화서비스는 대형 서버(컴퓨터)와 수백GB
용량
을 지닌 디스크볼트(vault)를 갖추고 대
용량
의 데이터 전송용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교환기를 통해 광섬유로 연결된 극장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해주는 것이다. 데이터를 전해받은 극장은 뒤편에 있는 영사기가 스크린에 화면을 투시하는 것이 아니라 ... ...
2. 인터넷 엑스포 운영위원장 전길남박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송수신되는 실험장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사용해온 회선보다 훨씬 더 큰
용량
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통신이 작년 말에 10개 광역시와 도청소재지를 중심으로 45Mbps급의 백본망(back-bone)을 구축했고, 데이콤에서도 올 6월까지 5개 광역시를 묶을 예정이다. 또한 7월까지 우리나라와 미국 ... ...
5. 에너지·환경 판도라 상자에 남아있는 마지막 희망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위해서는 전해질의 개발이나 저장 매체의
용량
을 늘릴 수 있어야 하는데, 저장 매체의
용량
은 계면의 넓이와 특성에 직접적으로 관련돼 있으므로 계면공학적 고찰이 이뤄져야 한다. 전기 자동차의 실용화가 늦어지는 것은 저장 밀도를 높이는 기술이 아직 미비하기 때문이다.수소는 대개 물을 ... ...
1. 가상공간에 신인류·신문화 위한 새 지구 건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주제전시관이 들어있는 고성능 컴퓨터다. 보통 센트럴 파크 한 곳이 보유하게 될 데이터
용량
은 2백50GB 이상(우리나라 센트럴파크의 주소는 한국전산원이 개설한 http://seoul.park.org). 전세계 7개국에 세워질 8개의 센트럴 파크는 참관객들이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서로의 내용을 주기적으로 상호 ... ...
CD플레이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자기에 접촉해도 전혀 변하지 않을 뿐 아니라 하드디스크나 플로피디스크에 비해 대
용량
을 저장할 수 있는 점 등은 컴퓨터용 저장장치가 가져야 할 최적의 조건이 아닐 수 없다.CD롬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기본 기술 역시 오디오 CD와 동일하다. 다만 연속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오디오 CD는 어느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정부내 모든 브리핑은 기밀 누설의 위험이 큰 차트작성 방식이었거든요. 정부는 작은
용량
의 성능 좋은 ‘미니 차트’ 가 필요했습니다.” 한 전자쇼에서 기계를 전시할 곳이 없어 계단 밑 공간에 설치, 선전하며 고생한 보람이 나타났다.이후 7-8년간 터미널 프린터 등 컴퓨터 주변기기 분야로 ... ...
5백만의 인포테이너 삐삐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제한돼 있지만 송신속도에 따라
용량
을 조절할 수 있다. 송신속도가 빠르면 채널당 수용
용량
이 증가된다. 라디오는 한 주파수를 여러사람이 동시에 수신하지만 호출기는 송신가능한 주파수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기지국에서 각기 다른 전파를 내보내야만 한다.광역서비스의 원리지역을 옮길 때마다 ... ...
당신이 사는 곳은 몇점?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carrying capacity)의 지배를 받는 밀도효과 때문에 발생한다. 서울의 밀도효과는 수용
용량
을 넘어선 소화불량에서 비롯된 것이며, 그 소화불량은 과밀한 도시 조성 때문에 발생했다. 그러므로 서울이 생물과 공존하는 도시로 복원하기 위해 1차적으로 인구밀도 조절과 녹지공간 배치가 최우선 과제이다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