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적
용적량
분량
함유량
산출량
d라이브러리
"
용량
"(으)로 총 1,26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종이 한장 위의 미학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10GB가 넘는 것까지 나와 있으나 노트북용은 2GB가 최고
용량
이다. 하지만 하드디스크의
용량
은 3-4개월에 한번꼴로 크게 늘어나고 있어 한계를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일반적으로 데스크톱용은 3.5인치 하드디스크를 사용하지만, 노트북에는 2.5인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2.5인치 하드디스크보다 먼저 ... ...
통합소재 공략이 중요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시기에는 ${Na}^{+}$이 축색막 안쪽으로 이동한다.45.축색 돌기의 세포막 부분은 1㎠당 전기
용량
이 1.0×${10}^{-6}$패럿인 축전기의 역할을 한다고 하자.위 그래프를 이용하여 뉴런이 자극을 받을 때 축색막을 통하여 1㎠당 이동하는 ${Na}^{+}$의 몰 수를 구하면?단,전자1몰의 전하량을 1패러데이라고 하며, ... ...
3. 국내시판 노트북 PC명품 이력서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곳이 또 있을까. 잇따라 등장하는 최신예 노트북PC는 이미 펜티엄칩에 1GB 이상의 대
용량
하드디스크를 기본으로 내장하고, 여기에 고속 CD롬 드라이브와 12인치가 넘는 TFT-LCD(초박막액정화면) 등을 채택함으로써 데스크톱PC의 자리까지 위협하고 있다.국내 10여개 전문업체들은 현재 노트북PC 신제품을 ... ...
1. 첨단기술 이 안에 다모여라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급격히 전력이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사용하는 노트북은 배터리
용량
을 나타내는 게이지가 대부분 없으며, 있어도 갑자기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한다.니켈수소는 메모리이펙트가 없다는 장점 때문에 노트북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사용시간도 3시간 정도로 길어져 현재 노트북 전지의 ... ...
잠수함 10문 10답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밀도변화나, 심해로 잠수할 때 압력의 변화도 대응해야 한다. 따라서 이 탱크들의
용량
과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잠수함의 설계 초기 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동적인 방법은 비행기를 조정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물 속에서 잠항타와 제어판을 조작함으로써 이에 따르는 양력의 변화를 이용해 ... ...
2. 무엇이 기억력을 향상시키나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약물의 사용에는 항상 주의가 따른다. 바로 ‘적정량’의 문제다. 예를 들어 적당한
용량
의 콜린성 약물을 정맥에 주사하거나 직접 먹으면 단어를 회상하는 능력이 증진된다. 그러나 많은 양을 주입하자 오히려 인지 기능에 손상이 일어난다.한편 간질을 일으키는 독성 물질인 스트리크닌은 소량 ... ...
96화성탐사 퍼레이드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두 행성은 한때 아주 비슷했기 때문이다.현재까지 수집된 화성에 관한 자료들은
용량
면에서 나무랄데 없지만, 실제로는 빈틈 투성이다. 실례로 방대한 양을 자랑하는 사진 자료는 그 내용이 상당히 불균질할 뿐 아니라 분해능도 썩 좋지 않다. 또 두 바이킹이 대기권에 진입할 때 화성의 기온과 ... ...
1. 두뇌개발 DHA·비타민·칼슘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건강보조식품’은 기능성 식품에 비해 특정 성분이 더 농축돼 있다. 그래서 용법이나
용량
을 제대로 지키지 않으면 과잉섭취로 인한 부작용이 더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일본에서는 게르마늄이 들어간 건강보조식품 ‘붐’이 일어난 적이 있었다. 업자들은 게르마늄이 포함된 광천수나 캡슐을 ... ...
정보사회의 일용할 양식-디스켓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컴퓨터 없이는 제대로 돌아갈 수 없는 세상이 돼버렸다. 그래서 컴퓨터에서 작업한 내용을 저장하는 저장매체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우리나라에 ... 것도 같은 이유다. 만약 2.0MB으로 포맷하는 드라이브용 디스켓을 만든다면 그 이상의
용량
을 가진 디스켓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 ...
2. 모자형 재킷형 손목시계형 PC 속속 등장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과학자들은 차세대 전지의 개발 방향을 극한상황에서도 마음놓고 사용할 수 있을 만큼의
용량
을 갖는 전지에 맞추고 있다. 아직 손목시계나 소형계산기 등 전력소모량이 적은 기기에만 사용할 수 있는 태양전지의 기능 개량이나 새로운 소재를 이용한 전지개발은 휴대용 시스템의 고성능화와 함께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