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너
구역
사각지대
경각
d라이브러리
"
사각
"(으)로 총 1,298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울은 숨은 그림 찾기의 달인?!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눈금 위에 색을 칠해 8개의 영역으로 나누었다. 원기둥 거울에서는 어떻게 보일까? 정
사각
형 눈금 위에 색이 칠해진 것처럼 보인다. 원기둥 거울에서는 왜 이렇게 보일까?원기둥 거울은 반사한 빛을 분산시켜 원래의 물체보다 작게 보인다. 따라서 원기둥 거울을 통해 평상시 볼 수 있는 대상을 ... ...
수학으로 물든 제주도! 2010 제주수학축제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뿐인데 머리 부분을 손가락에 올려놓으니 잠자리가 바닥에 떨어지지 않는거야! 잠자리는
사각
형을 기준으로 점점 잠자리 모양으로 오리다 보면 잠자리 머리 부분에 무게중심이 생긴다고 해.페르마의 점을 찾아보자대기고등학교 2학년 수학동아리 친구들이 비눗물을 이용해 페르마의 점을 찾아 보여 ... ...
야구장은 도형의 집합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밑변과 평행하게 투수판을 놓는다. 투수판은 가로 61cm(24인치), 세로 15.2cm(6인치)인 직
사각
형 고무판이다.야구장에 뾰족한 다각형만 있는 것은 아니다. 원이나 부채꼴과 같은 부드러운 곡선이 다이아몬드에 아름다움을 더하고 있다. 내야에는 2개의 원이 있어 다각형과 조화를 이룬다. 첫 번째 원은 ... ...
변화를 분석하는 도구, 미적분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적분은 잘라 나누고 더하기기원전 5세기 고대 그리스의 안티폰은 원에 내접하는 정
사각
형을 그린 뒤, 정팔각형, 정십육각형 등 계속 변의 개수를 두 배씩 늘려나가면 원의 넓이와 똑같은 다각형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다. 당시 사람들은 안티폰의 생각을 비판하기도 했지만 이 아이디어는 약 20 ... ...
2초 만에 시속 100km F1 머신 시동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드라이버도 간신히 들어가는 좁은 운전석에는 브레이크와 가속페달, 그리고 조그마한
사각
형의 핸들만 있다. 내구성은 더 ‘빵점’이다. 엔진과 타이어를 비롯한 각종 부품은 경기마다, 또는 경기 도중에 바꿔줘야 한다. 일반 차량의 엔진은 30만km를 주행해도 끄떡없지만 머신은 700~1000km를 ... ...
Part 2. 아름다운 한복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안이 바뀌게 되거든. 그래서 선조들은 마름질을 할 때 지혜를 발휘했단다. 서로 다른 직
사각
형을 대각선으로 자른 뒤 엇갈려서 붙이는 방법이지. 이렇게 엇갈려서 붙이면 겉감과 안감이 바뀌지 않게 돼.한복 바지에는 뫼비우스의 띠뿐 아니라 ‘클라인 병’이라고 부르는 4차원 구조도 볼 수 있어. ... ...
긴급출동! 어린이 안전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건널 경우 사고가 날 확률은 18배 더 크다. 자동차의 ‘
사각
지대’ 때문이다. ‘
사각
지대’는 운전석에서 안 보이는 차의 앞과 뒷부분으로, 자동차의 거울로도 전혀 보이지 않아 운전자는 어린이가 있다는 것을 모른 채 차를 움직일 수 있다. ‘어린이’니까!어린이는 어른보다 시야가 좁다. 어른은 ... ...
Part 1. 너랑 나랑 얼마나 가까울까?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다각형에 삼각형은 몇 개?
사각
형은 삼각형 2개로, 오각형은 삼각형 3개로 나눌 수 있다.
사각
형부터 변이 하나씩 늘어날 때마다 삼각형도 하나씩 늘어난다. 그러므로 n각형은 삼각형 n-2개로 나눌 수 있다.✚우리 서로 친척이에요~!우리가 아는 연예인 중에도 친척이거나 가족 사이가 많다. ... ...
달콤쌉쌀한 첫사랑에 빠진 도형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본다.“숫자 조각이잖아. 숫자 뒤에는 글이 쓰여 있네. 가로세로가 각각 5줄이 되도록 정
사각
형으로 배열하면 되겠어. 그런데 각 행과 열에 나타나는 숫자가 서로 같아야겠는걸. 즉 2행과 2열에 나타나는 다섯자리 숫자는 서로 같아야 해.”★ 도형의 쓰라린 첫사랑밤을 꼬박 새워가며 퍼즐을 푼 도형. ... ...
“내 손으로 풍력발전기 만들었어요”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앞뒤로 움직이는 것조차 어려워했던 학생들은 끝날 때쯤에는 종이 위에 그린 커다란 직
사각
형을 따라 로봇이 계속 돌게 하는데 성공했다. 이호준(대전 들꽃중 2) 군은 “로봇을 움직여본 것은 처음”이라고 웃었다. 살아있는 매미를 해부해본 조소영(경기 화성시 솔빛중 1) 양은 “매미 소리가 어떻게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