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중"(으)로 총 8,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식물은 후성유전학적으로 DNA에 담긴 유전정보의 변화 없이도 자신의 생애 전반에 걸친 중요한 유전적 결정을 내린다. 개화나 열매와 같은 유전적 결정을 조절할 수 있는 열쇠에 관한 연구를 지속해 나간다면, 우리가 보고 즐기는 꽃과 열매가 더욱 풍성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콘텐츠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2017.04.04
- 광합성 관련 유전자가 들어와(녹색 화살표)만 광합성을 할 수 있게 됐고 나중에 산소발생 광합성을 진화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산소호흡은 세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유전자수평이동(빨간 화살표)을 통해 진화시킨 것으로 보인다. - 사이언스 제공 ● 깜깜한 장 속에 시아노박테리아 산다고? ...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가 뜨거워지면, 땅속탄소 배출량 늘어나동아사이언스 l2017.04.02
- 결과가 나와 실망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심지어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공기 중에 떠도는 탄소를 잡아두기는 커녕 지구 온난화 때문에 땅 속 깊은 곳에 머물던 땅 속 탄소도 대기로 튀어나와 기후변화 현상을 가속화시키리라는 전망입니다. 물론 연구팀이 실험한 토양과 비슷한 환경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2017.03.28
- 알고 보니 봄철 캠퍼스 내 잔디를 태우는 분들이었다. 트럭을 타고 외곽도로를 지나가던 중 우리를 목격하고 이상해서 차를 세우고 달려온 것이다. 일부러 불을 내고 끄는 게 일인 사람들이! 만일 그때 그분들이 그곳을 지나가지 않았다면 날씨 상황을 봤을 때 우리들이 불을 끄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 ...
- 죽음의 바다가 된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동아사이언스 l2017.03.19
- 현상이 역사상 가장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는 분석도 나왔다. 그레이트배리어리프 산호초 중 90% 이상이 2015~2016년에 걸쳐 일어난 엘니뇨 때문에 색을 잃었다는 것이다. 휴지스 연구원은 “아직 표백 현상에 안전한 지역은 수온이 상대적으로 낮은 남쪽 부분”이라며 “해양생태계의 상징인 ... ...
- [사이언스 지식IN] 미세먼지와 황사는 무슨 차이 인가요?동아사이언스 l2017.03.17
- 높은 도시는 인도 델리, 이집트 카이로, 방글라데시 다카, 인도 콜카타, 인도 뭄바이, 중국 베이징 등입니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미세먼지 평균 농도가 1m3당 100μg이 넘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1년 평균은 약 30μg/m3 수준이지만 봄처럼 미세먼지가 심할 때는 100μg/m3 가 넘을 정도로 그 양이 많아질 수 ... ...
- 세포핵 가진 인공생명체, 2년 내 세상에 공개동아사이언스 l2017.03.12
- 할당받아 합성 작업에 착수했다. 첫 성과는 2014년 3월로 3번 염색체가 개발됐다. 이번 중간발표에서는 추가적으로 2, 5, 6, 10, 12번의 5개 염색체를 제작했다. 효모 게놈의 3분의 1정도를 인공으로 제작한 것이다. 이후 합성된 염색체를 실제 효모 염색체와 치환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렇게 제작한 3 ... ...
-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물질 형태를 찾아내다동아사이언스 l2017.03.12
- (아마도 수학적으로는 더 완벽하게 설명할 수 있겠지만) 불규칙해 보이는 물질의 배열 중 시간이 지남에 따라 꾸준히 규칙적인 배열이 나타나게 되는 겁니다. 윌첵 교수의 주장은 이번 네이처 논문 두 편에서 현실로 증명이 됩니다. 미국 메릴랜드대 크리스토퍼 먼로 교수팀은 이테르븀이라는 ... ...
- 권력형 성폭력, 어떤 경우에 더 많이 일어날까?2017.03.12
- 의 ‘상사’가 되어 함께 일하는 상황(채팅으로 여러 평범한 문장들 및 성희롱 문장들 중 몇 개를 골라 여성에게 외우도록 시킴)에서는 이들 남성이 여성에게 더 높은 빈도로 ‘오늘 밤에 나랑 뭐 할래?’, ‘그 옷을 입고도 이쁘니 안 입고 있으면 더 이쁘겠다’, ‘공짜로 산부인과 검진 해줄까?’ ...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PNAS)에 발표했다. 이 논문은 관련 분야에서 가장 인용회수가 높은 논문 중 하나로 꼽힐 만큼 연구 성과의 파급력이 크다(335회 인용). 그는 이 유산균 5형제를 'IRT(Immune Regulation and Tolerance, 면역조절 및 관용)5'라고 불렀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IRT5는 면역조절 T세포의 활성을 높이고 T세포의 수도 2배 ... ...
이전7737747757767777787797807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