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스페셜
"
중
"(으)로 총 8,737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스터 크기 소형 탐지기, “유령을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7
핵자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중
요한 역할을 한다”며 “또 작은 검출기로도
중
성미자의 결맞음 상호작용 검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향후 핵분열 및 핵융합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등 여러 방면으로 응용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
힘들어도 쾌활한 척하면 정말 기분이 좋아질까
2017.09.17
자연스럽게 지나가게 된다는 것도. 하지만 말처럼 쉽게 되는 것은 아니어서 나 역시 노력
중
이다. ‘요즘 스트레스가 많다. 나는 의기소침해졌다. 의기소침해하는 나를 보고 쪽팔림을 느꼈다. 속상했다.’라고 내 마음 상태를 인정해 봤다. ‘내가 요즘 수고가 많구나’라는 생각을 할 수 있었고, ... ...
지금 현재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
2017.09.09
하고 엄청
중
요해서 실패하면 인생이 끝장날 것만 같았던 일 또한 실은 그렇게까지
중
요하지 않았다는 깨달음이 오기도 한다. 또 최근 한 연구에 의하면 평소 잠깐 멈추고 마음을 정리해 버릇하지 ‘않는’ 사람들에게서 이런 작은 명상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고 한다(Creswell et al., 2014). 나의 ... ...
아프리카 하드자 족에겐 있고, 도시인에겐 없는 것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27
족과 같은 전통적 식생활을 하던 선조들과 현대인의 건강 상태의 차이가 생긴 가장
중
요한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소넨버그 교수는 “현대 도시인의 장내미생물 다양성 부족은 섬유질이 부족한 서구화된 식습관이 주원인이라는 증거가 밝혀진 것”이라며 “장내미생물은 사람이 섭취한 음식에 ... ...
최초의 미국인은 어디서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13
찾는 과학자들의 연구가 실렸다. 아메리카 원주민의 기원은 인류학에서는 미스터리
중
하나며 과학자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기존엔 최초의 인디언이 알래스카에서 몬타나로 이어지는 ‘얼음 없는 통로’를 이용해 내륙으로 이동했다는 가설이 정설처럼 받아들여졌다. 얼음 없는 ... ...
OOOO 잘 하는 사람이 어려운 사람 잘 돕는다
2017.08.13
조절을 잘 하는 사람들은 이 괴로움을 빨리 떨쳐버리고 제일
중
요한 ‘도움 행동’에 집
중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일례로 Panfile 등의 연구자들은 3세 아이들을 방 안에 혼자 두고 어디선가 아기가 우는 소리가 나도록 했다. 이후 보호자로 보이는 사람이 방에 들어와서 "아이를 달래 줄 XX를 찾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이해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장내미생물의 생체이물 대사가 우리 건강에 상당히
중
요하다는 건 알겠는데 아직은 내 건강관리로 이어질 방법이 마땅치 않다는 게 아쉽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 ...
2m 길이 DNA가 4㎛ 세포핵에 쏙 들어가는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사이언스 제공 [표지로 읽는 과학_사이언스]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엔 복잡한 세포핵 속 DNA의 모습을 담은 일러스트가 등장했다. 도너츠 같은 흰색 구조가 DNA ... “변형되기도,
중
합하기도하는 DNA의 구조는 유전자 기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
요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따르면 우리가 고온에서 다습을 느끼는 건 전적으로 촉각의 작용으로 여기에는 땀이
중
요한 역할을 한다. 주변 온도가 올라가면 우리 몸은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 땀을 분비한다. 그럼에도 지난달처럼 덥지만 건조할 때는 웬만해서는 피부에서 땀이 보이지 않는데 분비되자마자 증발해 날아가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
2017.07.18
곳부터 걷기 좋은 길들을 섭렵해야겠다(인지력 향상을 위해서는 낯선 환경에 놓이는 게
중
요하므로).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 ...
이전
770
771
772
773
774
775
776
777
7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