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스페셜
"
인류
"(으)로 총 1,356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너무 무리했으니까 살고 싶으면 좀 쉬렴"
2020.07.25
선택해야 할지 알 수 없는 상황이 되면 사람들은 큰 괴로움을 겪게 된다. 볼확실성은
인류
에게 있어 존재론적 위협인 셈이다. 따라서 지금처럼 코로나 사태가 지속되고 있고 이게 언제 끝날지, 또는 언제 다시 터질지, 치료법은 나올지 아무도 알지 못하는 불확실성 속에서 사람들이 지쳐가는 것은 ... ...
유네스코 AI 윤리 권고문 초안 아태지역 의견 모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3
특별 전문가 집단을 올해 3월 결성했다. 이에 따라 마련된 권고안 초안에는 AI 시스템이
인류
와 개인, 사회 및 환경에 유익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AI 시스템이 가져야 할 윤리적인 가치와 원칙, 이를 위한 정책과제 등을 제시했다. 협의회에는 아태지역 46개 회원국 정부대표와 각국 학계와 기업,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맨눈으로 볼 수 없는 천체로서, 망원경으로 발견한 최초의 행성이다. 허셜 이전까지
인류
가 알던 행성은 토성까지였다. 허셜은 일생에 걸쳐 수많은 망원경을 직접 제작했다. 천체를 관측할 때는 여동생인 캐롤라인이 조수로서 큰 도움을 주었다. 천왕성은 태양계 다른 행성보다 아주 특이하다. ... ...
권준욱 "코로나19 백신 확보 경쟁 소홀함 없도록 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7.21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억 명분을 확보한 상태다. 권 부본부장은 이에 대해 “전
인류
가 되도록 특정 지역에서의 유행 억제보다는 전지구적인 코로나19 예방이나 억제와 같은 부분이 분명히 필요한 것이 사실”이라며 “일부에서도 특히 선진국을 중심으로 선구매를 통한 사재기 같은 모습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박 속살은 원래 빨간색이 아니었다
2020.07.21
것이다. 3500년 전 이집트 사람들이 먹었던 수박 고대 이집트 벽화에는 수박이 등장해
인류
가 늦어도 4000년 전에는 수박을 작물화해 과일로 먹었음을 시사한다. 실제 3500년 전 미라를 깔던 수박 잎의 게놈을 분석한 결과 오늘날 수박과 비슷한 맛과 색을 지녔다는 결과가 나왔다. 뮌헨대 제공 한편 ... ...
UAE 화성 프로그램 이끈 힘은 '30대''여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데이터를 전세계에 공유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과학적으로 독창적인 임무를 수행해
인류
의 우주개발에 도움을 주겠다는 취지다. 미국이나 인도, 구소련의 화성 탐사선도 이런 임무를 수행한 적이 없다. 이안 플래치포드 영국 과학박물관장은 "기존의 대부분의 화성 탐사 임무들이 지질학에 ... ...
UAE 탐사선 ‘아말’은 어떤 임무 수행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타원 궤도를 지구 시간으로 55시간마다 한번씩 돌게 된다. 아말 탐사선에는 처음부터
인류
의 지식을 증진하기 위한 과학 임무가 주어졌다. 화성 탐사 국제 기구인 화성탐사프로그램조언그룹(MEPAG)이 제시한 4가지 주요 목표 가운데 화성 기후의 생성과정과 역사를 규명하는 임무가 주어졌다. ... ...
[프리미엄리포트]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18
가진 이 사자성어는 우리가 바이러스를 활용하는 데도 들어맞는다. 바이러스는 1900년경
인류
에게 감염병을 전파하는 원인 물질로 밝혀지면서 물리쳐야 할 악(惡)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하며 악에서 벗어날 방법을 강구했다. 비슷한 시기 바이러스와 유사한 전철을 ... ...
태양 표면 작은 폭발까지 드러낸 최근접 태양 이미지들
연합뉴스
l
2020.07.17
과학탐사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궁극에는 수성 궤도 안쪽인 4천400만㎞까지 접근하며
인류
최초로 태양 극지를 들여다보게 된다. [ES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SA 솔라 오비터 프로젝트 과학자 다니엘 뮐러는 "첫 이미지들은 기대한 것 이상으로 이전에는 자세히 관측할 수 없었던 매우 흥미로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마와 동이족 문명의 성쇠
2020.07.14
전 무렵 유물 그래프에서는 마루 대신 깊은 골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인류
문명의 부침은 강수량(장마) 같은 기후 이외에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그러나 이곳의 예외를 빼면 5500년에 이르는 시기 동안 참나무와 유물의 결과가 일치해 당시 이 지역에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