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스페셜
"
인류
"(으)로 총 1,35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중환자 급증…백신보다 치료제가 더 급하다
연합뉴스
l
2020.09.04
힘들지만, 개발된다고 해도 기대 만큼의 효과를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인류
와 함께 한 바이러스 [서울의대 면역학교실 제공] 이는 그동안 개발된 인플루엔자 백신의 효과를 돌이켜보면 명확해진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연구에 따르면, 2010년 이후 인플루엔자 백신은 A형(H1N1)과 B형에 ... ...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블랙홀 병합 중력파로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블랙홀' 첫 확인 특이한 것은 이들의 질량이었다. 병합으로 탄생한 블랙홀의 질량대는
인류
가 한번도 직접 관측한 적이 없는 ‘중간질량 블랙홀’이었다. 중간질량 블랙홀은 대략 태양 질량 100~10만 배 사이의 질량을 갖는 블랙홀이다. 별이 수축을 통해 블랙홀이 되는 ‘별질량 블랙홀’보다는 크고 ... ...
지구의 바다 0.5%는 인간이 만든 구조물로부터 직접적 영향 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면적의 10배에 해당하는 넓이다. 인간이 자연 위에 인위적인 구조물을 짓는 행위는
인류
역사와 함께 이어져 온 행위다. 육지 위에 건물을 짓고 바꾸는 행위가 자연 파괴를 불러온다는 경각심은 많았던 반면 바다 위에 무언가를 짓는 데 대해서는 관심이 덜해 왔다. 연구팀은 전 세계에 지어진 ... ...
"미지의 신종 감염병 시대, 데이터에 기반을 둔 지식으로 맞서야죠"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질문을 던지는 기회를 만들고 싶었을 뿐”이라고 말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는
인류
가 처음 맞는 사태다 보니 전문가조차 초반에 우왕좌왕할 수밖에 없었다며 "팬데믹 상황에서 전문가의 정의와 역할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예를 들어 사태 초반 국내에서는 KF-94 마스크 ... ...
국민 삶·경제 성장 질 끌어올린다...‘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
동아사이언스
l
2020.08.26
차별없는 소통·신뢰 사회 구현을 위해 다양한 소통방식과 신뢰 가능한 네트워크 구축을,
인류
사회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을 위해 새로운 삶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우주·심해·극지 등 미지 공간 개척을 제안하고 기초과학의 주요 난제도 함께 제시했다. 8개 도전과제에서 제시된 160여개의 예시 ... ...
25년뒤 90대는 틀니·임플란트 안해도 된다…2045년 과학이 그린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20.08.26
뇌파통신 같은 소통수단을 확보하고 해킹에도 대비하는 과제가 필요하다고 봤다.
인류
사회 기여를 위해서는 우주와 심해, 극지를 개척해 희귀자원을 채취하고 탐사와 연구를 수행하는 과제가 꼽혔다. 앞서 제안된 8대 도전과제 해결을 위한 기초과학 난제에 도전해야 한다는 과제도 추가로 ... ...
별 헤는 밤 망치는 우주쓰레기 어이할꼬
동아사이언스
l
2020.08.25
크기의 큰 구멍이 생기기도 했다. 우주 쓰레기는 1957년 10월 4일 구소련이 제작한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된 이래로 인공위성의 발사가 늘며 함께 증가하고 있다. 유럽우주국(ESA)에 따르면 현재 우주 쓰레기의 숫자는 3만 4000여개 이상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지구 ... ...
[표지로 읽는 과학] 40억년간 '진흙'이 바꾼 지구의 풍경
동아사이언스
l
2020.08.23
지구의 지질학 역사와 고생물 역사를 알려주는 원천이 됐다. 하지만 진흙은
인류
의 번성과 더불어 다시 한번 변혁을 맞고 있다. 약 5000년 전부터 가속화된 산림 파괴와 개간으로 육지 침식이 급격히 늘었다. 강과 계곡으로 더 많은 퇴적물이 유입됐다. 도시화 역시 일부 강의 퇴적물을 늘리는 결과를 ... ...
[팩트체크] 긴 장마 끝나고 폭염?..."2018년만큼은 아닐 것"
과학동아
l
2020.08.22
과거와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그 이유 중 하나로 지난 100년간 화석연료 사용과 같은
인류
의 활동이 불러온 지구 온도 상승세도 빼놓을 수 없다. 지구온난화는 데이터로 입증된 전 지구적 기후 현상이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2018년 10월 인천 송도에서 열린 제48차 총회에서 ... ...
[사이언스N사피엔스]와인 나라의 와인 과학자(19세기 생물학1)
2020.08.20
희귀한 샘플을 어떻게든 갖고 싶어 하는 습성이 있긴 하지만 그런 개인적 취향보다는
인류
전체의 안전을 위한 국제적인 합의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 예방접종의 시초는 제너였지만 면역의 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백신을 본격적으로 만든 사람은 프랑스의 루이 파스퇴르(1822~1895)였다. 세균학의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