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닷물
해조
짠물
기침
수해
바다물
뉴스
"
해수
"(으)로 총 812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 얼음 밑 신비의 호수 ‘빙저호(氷底湖)’를 찾아서
2014.12.19
없는 셈이다. 물증을 확보할 가장 좋은 방법은 얼음을 뚫고 빙저호의 물을 직접 채취해
해수
샘플과 화학성분을 비교하는 것이다. 또 빙저호 위 빙하의 고도변화와 빙진의 발생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도 증거가 될 수 있다. 연구진은 올해 9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인공위성 ‘아이스샛(ICESat)’과 ... ...
‘합금만 쓸모 있다’던 상식 깬 순수 타이타늄 등장
2014.12.03
섞어 합금을 만들어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타이타늄 합금은 임플란트용 나사부터
해수
담수화 시설의 열교환기까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지만 합금에 들어가는 바나듐과 지르코늄, 몰리브덴은 매우 양이 적은 자원인데다 합금 성형과정이 있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 ...
새 해양과학조사선 이름은 ‘이사부’
2014.12.01
해양과학조사선의 활약으로 우리나라 해양 영토가 확장되길 바란다는 염원을 담았다.
해수
부는 “전 세계 바다를 누비며 자원 탐사 및 해양영토를 확장해 대한민국 해양과학기술을 널리 알리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사부는 사업비 1067억 원을 들여 내년 12월 건조를 마친 뒤 2016년 6월 시험 ... ...
32일 된 태아가 품은 1억 년 진화의 비밀
2014.11.09
이상 파도가 자주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날씨라는 관점에서 철저히 분석한다. 또
해수
면 상승 등 기후변화로 인해 우리에게 닥칠 일은 무엇이며 그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도 기상전문가의 입장에서 제시한다. ◆첨단기술로 본 3년 후에 (이준정 著, 시간여행 刊) 100년 후, 10년 후를 ... ...
해수
면 상승 앞당기는 건 ‘그린랜드 빙하’
2014.09.29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분량은 전세계
해수
면을 약 0.06mm 높이는 정도로 연평균
해수
면 상승량인 3mm 에 비해 크게 모자라다. 연구팀은 현지 조사를 토대로 그린란드 빙하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새로운 모델을 만들었다. 조사 결과 알려진 것과 달리 그린란드 빙하가 올라타 있는 암석층은 ... ...
그래핀과 바닷물, 무슨 관계?
과학동아
l
2014.06.03
산화와 부식이 일어나지 않고 효율도 30% 가량 높아진 것을 확인했다. 오 교수는 “
해수
담수화 시설은 물론 다양한 생산공장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연구성과는 재료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지’ 온라인판 5월 3일자에 실렸다. ... ...
‘돌이킬 수 없는 남극 해빙’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14.05.30
“북극은 빙하가 바다에 떠 있지만 남극은 빙하가 대륙 위에 놓여 있어 녹을 경우 곧바로
해수
면 상승으로 이어진다”면서 “남극뿐 아니라 페루의 쿠에루카야 빙하, 아프리카의 킬리만자로 만년설 등도 지구온난화를 피하지 못해 사라졌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극지연은 ... ...
인텔국제과학경진대회(ISEF) 2014 직접 가보니
과학동아
l
2014.05.23
해류를 말하는데 속도가 매우 빠른 것이 특징이다. 이 군은 이안류가 빠르게 빠져나갈 때
해수
면 높이가 크게 달라진다는 점을 이용해 발전기를 고안했다. 그는 “파력발전기의 발전 효율은 기존 대비 1.6배”라면서 “설치비가 비싸 파력발전기 개발이 더딘 편인데, 이번 연구가 도움이 됐으면 ... ...
지난 겨울 이상 폭우에도 런던이 침수하지 않은 이유는?
과학동아
l
2014.05.18
피해를 줄이는 방법이 담긴 보고서를 영국 정부에 제출했다. 섬나라인 영국은 폭우로
해수
면이 상승하면 큰 홍수가 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신속히 대처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영국 정부는 킹 대사의 보고서에 따라 해변의 수리시설을 정비하고, 육지로 넘치는 바닷물을 계곡으로 보내는 ... ...
[채널A] 세월호 침몰 해역, ‘명량대첩’ 울돌목 인근
채널A
l
2014.04.17
세워져 있습니다. 또 수심이 깊을 뿐 아니라 바닷물이 흐르는 방향이 6시간마다 바뀌어
해수
면의 변화가 심합니다. 게다가 보름에 한 번씩 조류가 가장 세지는데 오늘이 바로 그 때입니다. 특히 내일도 유속이 시간당 4.5km로 빠르고 짙은 안개 속에, 바람도 초속 11미터까지 매우 강하게 불 걸로 예보돼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