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조자료
전거자료
인용자료
관련자료
참고문헌
뉴스
"
참고자료
"(으)로 총 1,76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론한계보다 '먹성' 40배 좋은 초기 우주 블랙홀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LID-568 블랙홀이 가스를 방출하며 주변 물질을 빠르게 흡수하는 모습을 묘사한 그림. NOIRLab/NSF/AURA/J. da Silva/M. Zamani 제공 빅뱅이 일어나고 15억 년이 지난 초기 우주에서 이론적으로 예측된 한계보다 물질을 40배 빨리 '먹어 치우는' 초대질량(supermassive) 블랙홀이 사상 처음으로 발견됐다. 초기 우주에 ... ...
원자핵은 어떻게 생겼을까...고에너지 핵충돌로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우라늄 원자핵이 전자와 충돌하면서 입자를 방출하는 장면을 표현한 이미지. Chunjian Zhang/Fudan University 및 Jiangyong Jia/Stony Brook University 제공 과학자들이 전자를 가속시켜 무거운 원자핵과 충돌시키는 장치인 상대성중이온가속기(RHIC)를 사용해 원자핵의 세부적인 형태를 규명하는 시각화 기술을 개발 ... ...
장애물 만나면 진동...시각을 촉각으로 대체하는 웨어러블 기기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외부 환경 정보를 진동과 울림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웨어러블 기기 표피 VR. 노스웨스턴대 제공 피부에 부드럽게 밀착해 외부 환경의 정보를 착용자에게 진동과 울림(햅틱)으로 전달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 소재가 개발됐다. 시각장애인 환자가 이 기기를 활용하면 주변 환경을 느낄 수 있어 ... ...
[동물do감] 청각 잃은 모기, 짝짓기 흥미도 잃어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이집트숲모기는 매년 수억 명의 인구에게 감염병을 전파한다. 15308757/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모기의 윙윙대는 소리는 사람에게는 매우 성가시지만 모기끼리는 로맨틱한 청각 자극이다. 청각 장애가 있는 수컷 모기는 짝짓기를 하지 않는다는 점이 확인됐다. 인간에게 감염병을 매개하는 모기의 번 ... ...
"낮에 꾸벅꾸벅 존다면 치매 전조 증후군 의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낮에 쏟아지는 졸음과 치매 사이의 연관성이 확인됐다. JulieAlexK/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오후만 되면 쏟아지는 잠 탓에 정상적인 활동을 하기 어려운 노인은 치매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낮에 발생하는 수면 문제는 치매 전 증후군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빅투아르 르로이 미국 알 ... ...
차세대 반도체 뉴로모픽 소재 '마그논' 미세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KRISS 연구진이 마그논 미세구조 관측에 이용한 VNA 장비(왼쪽)와 마그논 소자(우). KRISS 제공 인간 뇌 구조를 모사한 차세대 반도체를 뜻하는 '뉴로모픽 소자'의 핵심 소재로 주목받는 '마그논'의 미세구조가 국내 최초로 관측됐다. 기존 연구결과보다 약 1000배 더 미세한 영역까지 파악해 뉴로모픽 소 ... ...
폐배터리 양극재, 100% 새제품처럼 복원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폐배터리 양극재 재활용 기술을 개발한 연구진. (왼쪽부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우중제 센터장, 마지영 연구원, 송진주 연구원, 송하용 연구원. 에기연 제공 국내 연구진이 폐배터리 양극재를 새 제품처럼 복원하는 재활용 기술을 개발했다. 폐배터리의 용량을 새 배터리와 100% 동일한 상태로 복 ... ...
200°C 극한 환경서 가스 감지하는 고분자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진이 극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가스를 감지하는 소재를 개발했다. KIST 제공.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내구성 좋은 고분자 나노소재가 개발됐다. 극한 환경에서 쓸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로의 응용이 기대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장지수 전 ... ...
페트병 소재 대체 미생물 플라스틱 생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화석 연료 기반 페트병 소재를 대체할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가 개발됐다. 쌓여있는 페트병.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기존 화석 연료 기반 페트병(PET) 소재를 대체할 미생물 플라스틱 생산에 성공했다. 다양한 제품에 활용되는 친환경 플라스틱 생산으로 이어질지 관심이 모인다. KAIST는 이 ... ...
AI가 방사선치료 계획하면 정확도 2.36배 높아져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세브란스병원 제공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학습해 문제를 해결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인 대형언어모델(LLM)이 방사선치료 계획의 정확도를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은 박상준‧김진성 연세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가 예종철 KAIST 김재철AI대학원 교수 및 오유진 연구원과 함께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