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숙아
이형인 사람
기형인 사람
병신
기형
신체이상
d라이브러리
"
불구
"(으)로 총 1,97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고방식에도 국경이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다소 수줍은 면도 있다. 이는 누구에게나 맞는 얘기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사람들은 이런 말을 해주는 심리학자나 점술가를 ‘족집게’라고 믿게 된다.이를 심리학에서는 ‘바넘 효과’(Barnum effect)라고 부른다. 바넘 효과는 이런 성격 기술문 안에 교묘하게 숨겨져 있는 모순을 ... ...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연장선상”이라고 말했다.근래 들어 과학자들은 대기오염의 수치가 줄어드는 상황에도
불구
하고 사람들이 대기오염에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는데 어리둥절해 했다. 그러면서 새롭게 주목하게 된 것이 미세먼지다.이후 과학자들은 자신들의 예상보다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 ...
스팸메일 뿌리뽑는 불가능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경우에는 50-60%로 그 비율은 더욱 낮아진다. 이처럼 여러가지 기술들을 총동원했음에도
불구
하고 스팸메일을 뿌리뽑지 못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각각의 기술이 안고 있는 한계와 틈새 때문이다.이런 가운데 확실한 스팸 척결 기술을 개발하겠다는 빌 게이츠 회장의 선언은 의미심장하다. MS는 이미 ... ...
한국 어디를 찍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좋은 연구 여건을 제공할 수 있는 지역으로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지진의 위험에도
불구
하고 지리적으로 가까운 일본에 일단 지지의사를 표명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하지만 한국의 입장은 매우 유동적이라고 이경수 핵융합연구개발사업단장은 밝혔다. 이 단장은 “일단 일본을 지지했지만 ... ...
특명! 물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그래서 오존층이 없다. 해로운 자외선은 곧바로 지표면까지 도달한다.그럼에도
불구
하고 화성에 물이 존재한다면? 그렇다면 붉은 행성에도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지 않을까?발사 40주년을 맞은 NASA의 마리너4호는 화성의 모습을 처음으로 지구에 보내온 우주선이다. 궤도에 진입하지는 못하고 살짝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반사광을 무난히 소화해낼 정도의 실력을 갖추고 있다. 이 그림이 다양한 색감에도
불구
하고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는 것은 세잔의 그림에서처럼 하늘색의 밝기가 정확했고, 하늘색과 흰 배경간의 밝기차이가 피카소의 그림에서처럼 작았기 때문이다.예술과 과학. 별로 관계가 없어 보이는 두 ... ...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결과 아주 새로운 현상이 확인됐다. 이별은 태양의 1.5배 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임에도
불구
하고, 산소와 같은 원소가 태양보다 10배나 많은 것이 관측됐다. 과연 어떻게 이 원소비를 설명할 수 있을까? 만약 블랙홀 형성 당시 블랙홀의 모체에서 초신성폭발이 있었고, 이때 만들어진 원소들이 짝별에 ... ...
세계 최대의 초호화유람선 퀸 메리 2호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동시에 더 자유자재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다. 그 결과 퀸 메리 2호는 엄청난 덩치에도
불구
하고 기존 여객선에 전혀 뒤지지 않은 최고 30노트(시속 약 55km)의 속도로 항해할 수 있다.퀸 메리 2호는 영국의 해운기업인 쿠나드가 5억5천만파운드(약 1조1천억원)를 투자해 탄생한 배다. 유람선을 건조하는 ... ...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뜻한다. 이처럼 나라나 학자마다 미묘한 해석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유비쿼터스가 지금과 전혀 다른 새로운 공간과 미래를 열어줄 것이라는 데는 모두가 공통적인 입장이다.사람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벌어지는 사물과 사물간의 끊임없이 소통과 행동을 뜻하는 ‘조용한 ... ...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알 수 없다.프리온 질병 연구에 지금 이 시간에도 수많은 과학자가 도전하고 있음에도
불구
하고 여전히 이 병에 대한 수수께끼는 모두 해결되지 못했다. 이 질병의 병원체가 바이러스와 프리온 단백질이라는 상반된 학설로 가주섹과 프루시너가 각각 노벨상까지 받았는데도 말이다.그런데 최근 학계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