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d라이브러리
"
바이러스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전면전을 벌이지 않아도 된다.)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박쥐가 있는 곳에
바이러스
가 늘 함께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에볼라 쇼크INTRO. 에볼라의 모든 것PART1.전염의 시작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생각이 물밀듯 밀려온다. 하지만 설령 가렵지 않더라도 문제는 질병이다. 모기는 병원성
바이러스
를 비롯해 원충, 선충을 매개하는 능력이 다른 곤충보다 월등하다. 흡혈능력 때문이다. 모기가 병원성 미생물에 감염된 뒤, 동물이나 사람의 피를 빨면서 자기 몸에 들어온 병원체를 쉽게 전달하는 ...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경력도 어디로 튈지 모르는 탐험 같았다. 1960년대 중반, 벤저는 박테리아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
인 T4박테리오파지에 대한 연구로 이미 유명해졌다. 1년에 6편의 최고급 논문을 쓰며 과학자로서 잘나가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스승인 막스 델브뤽은 벤저의 아내에게 한 통의 편지를 보냈다.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2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저장효율이 최대 2~3배 좋을 것으로 기대되는 차세대 이차전지다. 연구팀은 유전자 변형
바이러스
‘M13’을 이용해 물속에서 마그네슘 분자를 끌어당겨 산화마그네슘을 만든 뒤, 팔라듐을 소량 첨가해 전도성 높은 나노촉매를 완성했다. 기존 촉매보다 표면적이 넓어서 효율이 높으며, 유독한 ... ...
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늘어나도록 분화를 촉진한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로버트 윌너 교수팀은 우리 몸에
바이러스
나 박테리아가 침입했을 때 줄기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셀스템셀’지 4월 3일자에 발표했다. 중간엽줄기세포와 조혈전구세포는 병균이 침입했다는 염증신호가 발생하면 사이토카인을 생성해 ... ...
두유노우 마우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후 소각됩니다. 불쌍하다고
바이러스
실험을 한 뒤 실험동물을 살려뒀다가는 어디로
바이러스
를 퍼뜨릴지 모르잖아요? 유전자를 조작한 쥐라면 외부로 탈출했다가 야생쥐와 교배해 생태계에 해로운 유전자를 퍼뜨릴 수도 있으니까요. 2001년에 경기도 안양에서는 시내에서 갑자기 실험용 흰 쥐가 ... ...
[Life & Tech] 암세포만 때려잡는 마법 방망이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그렇다면 이 효소를 열쇠로 이용 한 나노자물쇠를 만들면 되지 않을까. 서 교수는 먼저
바이러스
(AAV)의 껍질 단백질(캡시드)로 정20면체인 통을 만들어 약물을 넣었다. 그리고 펩티드라는 작은 조각으로 자물쇠를 만들어 껍질 을 꽉 잠그도록 조작했다. 앞서 말한 특정 효소만이 이 자물쇠(펩 티드)를 ... ...
에볼라(Ebola)는 왜 이토록 치명적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에볼라’는
바이러스
성 전염병이다. 감염자나 동물의 혈액이나 체액, 또는 오염된 물체와 직접 접촉했을 때 감염된다. 감염되면 출혈이 일어나고 내부 장기가 파손된다. 치사율이 90%에 달한다. ...
그녀는 왜 물탱크를 버렸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온도에서 식품을 보관하는 항아리 냉장고(Pot-in-Pot), 태양광 식수 살균처리기와 세균과
바이러스
를 걸러내는 필터가 내장된 라이프 스트로(빨대) 등이 대표적이다.적정기술은 개발도상국의 빈곤을 없애고 안전한 생활을 가능하게 해 줄 구세주로 크게 주목 받았다. 그런데 적정기술이 받은 성적표 ... ...
방사능보다 더 무서운 괴담의 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일본에서 살았거나 여행 다녀온 친구를 멀리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들었어. 방사능은
바이러스
가 아니야. 접촉한다고 옮지 않는다고!항암치료를 위해 다량의 방사성 요오드를 먹은 사람은 일시적으로 ‘걸어 다니는 방사능’이 될 수 있긴 해. 하지만 몸이 괴물로 변하기 때문이 아니야. 갑상샘에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