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d라이브러리
"
바이러스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찾고 있다. 올해만 해도 고려대 의대와 극지연구소 연구팀이 남극에서 신종 아데노
바이러스
를 발견했다. 우리 신종헌터들은 이미 '생물자원 특허전쟁'의 최전선에 서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종헌터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Bridge. 신종 ... ...
[fun] “질병 최전선에 있는 학자”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그 때마다 과학자들은 본인이 감염될 위험을 무릅쓰고 달려들었다. 과학자들은 천연두
바이러스
에 대한 백신을 만들었고, 페스트의 원인을 밝혀내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도록 했다. ‘페스트와 콜레라’는 바로 이 페스트균을 발견한 프랑스의 의사 알렉상드르 예르생의 일대기를 그린소설이다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본문에 언급된 유전자재조합백신(
바이러스
형, DNA형)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 에볼라
바이러스
유전자의 일부를 잘라서 세포 속에 직접 넣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고, 이번에 임상시험까지 하게 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에볼라 쇼크INTRO. 에볼라의 모든 것PART1.전염의 시작BRIDGE. 에볼라가 ... ...
PART1.전염의 시작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시내의 유명병원에서 말라리아 치료를 받았다. 이 과정에서 의료진과 병원 관계자가
바이러스
에 감염됐다. 라고스는 1300만 명이 사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중앙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를 잇는 교통의 중심지다. 세계보건안보센터의 데이비드 헤이만 센터장은 “비행기를 같이 탄 모든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오래 살려 놓아야
바이러스
자신의 번식에도 유리하기 때문이다(과학동아 2013년 8월 ‘
바이러스
의 인간사육’ 기사 참조). 시간이 지나면 언젠가 에볼라도 감기처럼 ‘부드러운’ 질병으로 바뀔 것이다.4 아프리카 대륙의 에볼라 “앞으로 훨씬 퍼진다”당장은 에볼라가 아프리카에서 꽤 퍼질 것 ... ...
에볼라 쇼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WHO)가 8월 8일 에볼라
바이러스
에 대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1976년 처음 에볼라가 발견된 이래 이토록 많은 사람이 감염된 사례는 처음이다.WHO가 비상사태를 선포한 건 2009년 신종플루 사태와 지난 5월 소아마비의 재발 이후 세 번째다.그동안 풍토병(Endemic)에 그쳤던 에볼라가 ... ...
INTRO. 에볼라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가장 치명적인 증상은 내부의 출혈이다. 우리 몸의 면역을 담당하는 대식세포는 에볼라
바이러스
를 잡아먹는 과정에서 혈액을 응고시키고 혈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이산화질소를 분비한다.● 실제 가장 많은 사망자가 과다출혈로 인한 저혈압 및 쇼크사로 사망한다. 일부 환자의 경우 탈수증상으로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isolator)에서 실험. BL4 양압복 실험실과 완전히 공기가 차단된 보호복을 착용.
바이러스
가 안으로 침투하기 어려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에볼라 쇼크INTRO. 에볼라의 모든 것PART1.전염의 시작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 ...
9월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제13회 ‘과학동아 카페’ 주제는 가장 핫 이슈인 에볼라
바이러스
입니다. 서아프리카를 강타한 에볼라 사태는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까요.
바이러스
전문가인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와 성백린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가 함께 합니다. ...
아프리카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000명 vs 2억 명. 각각 에볼라와 말라리아에 감염된 사람 수예요. 치사율이 높은 에볼라
바이러스
가 일시적으로 사람들을 공포에 떨게 하고 있지만, 실제 대다수 개발도상국 주민들의 삶을 위협하는 건 말라리아랍니다. WHO가 밝힌 말라리아 사망자 수는 2013년 한 해 동안만 62만7000명. 대부분 아프리카에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