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향기
악취
방향
혹취
내음
향
냄새감각
d라이브러리
"
냄새
"(으)로 총 1,430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릴라 고환이 사람보다 작은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면적이 10원짜리 동전만한데 비해 주름진 개의 후각상피를 펼치면 식탁만큼 넓기 때문에
냄새
를 잘 맡아 ‘개 코’ 소리를 듣는다.지식의 대융합이인식 지음 | 고즈윈 | 472쪽 | 1만 9800원미래는 융합 지식과 융합 기술의 시대라는데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그만큼 지식의 대융합은 ... ...
포자에 꼬리 달거나 돌기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2시간 안에 대가 밖으로 솟아오른다. 포자 덩어리는 대 상단부에 있고 곤충이 좋아하는
냄새
를 풍기는 게 특징이다. 황녹색 주머니 모양인 모래밭버섯은 잘라 보면 마치 모래알이 모여 있는 것처럼 포자가 빽빽이 들어차 있다. 이들은 흙속에서 황색 뿌리 모양의 균사다발을 뻗어 소나무 뿌리와 ... ...
눈먼자들의 도시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감지하는 수용체인 미뢰가 약 1만 개 있어 이런 복잡한 맛을 감지한다. 온도나 혀의 촉각,
냄새
도 맛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영화에서 청각과 후각이 발달한 맹인은 권총을 가지고 있던 남자와 함께 폭동을 일으켜 병원의 식량배급을 독점한 뒤 병동마다 귀중품을 요구하더니 급기야 ... ...
에너지왕국 구출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섞어서 휘발유 대신 쓰고 있어요. 후보➎ 변신의 힘악취에서 태어난 에너지크으~,
냄새
가 나도 좀 참으십시오! 제가 에너지 왕국의 미래에 중요한 역할을 할 또 다른 후보를 찾아왔답니다. 생각도 못했던 곳에서 제가 찾아 낸 후보들을 보시면 깜짝 놀라실 겁니다. 이미 에너지 왕국을 위해 힘쓰고 ... ...
합성첨가물 안 쓰는 식품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후후. 콩나물 추출액입니다. 너무 농축돼서 잘 모르겠지만 물에 조금 타면 콩나물국
냄새
가 나죠.”“신기한데요.” 이처럼 원재료에서 얻은 농축액을 기본으로 해 양념을 만들면 MSG를 첨가했을 때보다 더 많이 넣어야하므로 원가가 높아진다. 그럼에도 맛은 오히려 부족한 경우가 많다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하는 유화제·팽창제베이커리 옆을 지나가다 보면 문틈으로 흘러나오는 향기로운 빵
냄새
에 자신도 모르게 문을 열게 된다. 식빵을 비롯해 앙금빵, 패스트리, 카스텔라, 케이크 등 종류도 가지가지다. ‘각종 첨가물이 들어가고 가공도 많이 한 과자보다는 빵이 몸에 좋겠지.’빵의 원료라야 밀, ... ...
“생각대로 하면 되고~♪” 마음 읽는 모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아까부터 모자를 쓰고 저쪽에 서 있는 사람이 있군요. 뭔가 단서를 쥐고 있는 듯한
냄새
가…. 조심스럽게 인터뷰를 시도해 보겠습니다.안녕하세요? 아까부터 모자를 계속 쓰고 뭔가 생각에 잠겨 계시네요. 실내에서 모자 쓰고 있으면 덥지 않으세요?아, 괜찮습니다. 좀 덥긴 하지만 그렇다고 이 ... ...
피아노 건반을 사랑한 물리학자 김지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분야의 일을 하면서 유기용매
냄새
에 익숙한 저희도 태안에 도착했을 때 밀려오는 석유
냄새
에 움찔했습니다. 지금은 많이 회복됐다니 다행입니다.” 김 박사 일행은 만리포에 비해 방제 손길이 덜 미친 천리포에서 작업했다. “모래를 파보니 검은층과 흰층이 교차된 모습이 마치 ‘티라미슈 ... ...
전기장으로 잠자는 유전자를 깨운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발현하는 패턴의 변화가 더 크게 작용한다. 예를 들어 쥐와 사람은 모두 1000여 개의
냄새
수용체 유전자가 있는데 쥐는 이들 대부분이 발현해 수용체 단백질로 만들어지는 반면 사람은 3분의 2가 발현하지 않는 ‘잠자는 유전자’다. 쥐가 사람보다 후각이 민감한 이유다.이들이 만든 놀라운 ... ...
[유전학]쌍둥이는 몸에서 나는
냄새
도 똑같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그 자체로는
냄새
가 없다. 하지만 피부에 사는 박테리아가 땀과 화학반응을 하며 특이한
냄새
를 발생시킨다. 체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은 대부분 카르복실산 계열의 물질로 지금까지 적어도 24가지가 알려졌지만, 여기에 유전적 요인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된 적은 없었다.낫치 박사는 여성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