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d라이브러리
"
남쪽
"(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7월 16일 밤 10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긴 지속 시간이다. 22시 55분에 달이 그림자의 중심에 가장 가깝게 들어간다. 이때 달은
남쪽
하늘 궁수자리와 염소자리 사이에 있는데, 시골에서는 개기식 중에 달의 서쪽에서 희미한 은하수의 모습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주변에 밝은 별은 없고, 소행성 4번 베스타(5.4등급)가 비교적 가까운 위치인 1. ... ...
보현산의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것 같은데, 꼭 정각리 마을 쪽으로 길을 낸 것은 무엇 때문일까. 이유는 바로 그쪽이
남쪽
이기 때문이다. 눈이 내린 날 밤에는 오히려 날씨가 맑아 관측하기에 좋다. 그런데 길에 눈이 쌓여 있으면 천문대에 올라올 수가 없다. 천문대 오르는 길은 남향이어야 눈이 빨리 녹아 천문대에 오를 수 있는 ... ...
간의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중국과 우리나라에서는 적위를 적도면으로부터 위로 재지 않고 북극점으로부터 아래(
남쪽
)로 쟀다. 이를 ‘극점으로부터의 떨어진 각거리’란 뜻으로 ‘거극도’라고 한다. 물론 적위는 ‘90-거극도’와 같으므로 의미는 같다. 또한 적경은 춘분점으로부터 재지 않고 적도면 주변에 있는 28개의 ... ...
1. 비눗방울 표면에 붙어있는 은하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North)라고 불린다.1998년에는
남쪽
하늘에 대해 같은 방법으로 관측을 했는데, 그 지역은
남쪽
허블딥필드(Hubble Deep Field South)라고 불린다. 사진에서 보이는 영역은 하늘에서 매우 작은 지역으로서 한변이 각도로 2.5분이며, 이는 보름달 지름의 12분의 1에 불과하다.사진에는 놀랍게도 약 3천개나 되는 .. ...
망원경으로 엿본 은하마을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핵이 별처럼 밝아 보이고 은하의 동쪽 부분에 초신성 같은 13등급의 별도 볼 수 있다.좀더
남쪽
으로 내려가 감마별과 이타별의 삼각 꼭지점 근처에는 3C273로 알려진 가장 밝은 퀘이사를 볼 수 있다. 3C273은 1963년 처음으로 발견된 퀘이사로 태양계 정도의 크기에서 은하의 수백-수천배 에너지를 내뿜고 ... ...
남십자성과 에타카리나 성운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캥거루가 지나다녔다.이때 풀 밟는 소리가 인기척과 흡사해 으스스하게 느껴졌다.이제
남쪽
지평선 위에는 대·소마젤란 은하가 구름조각처럼 걸린다.이 은하들은 10월 밤에 다시 가장 높이 남중하게 될 것이다.새벽이 가까워 오면서 우리에게 친숙한 전갈자리와 궁수자리가 천정으로 올라오면 ... ...
꽃 색깔 연출하는 화청소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한라산 산정에 흰 잔설이 남아있는 삼월. 먼
남쪽
바다로부터 따사한 해풍이 불어오면 어느덧 제주도는 섬 전체가 노랑 물감을 뿌려놓은 듯 원색의 노란 유채꽃 바다로 뒤덮이게 된다. 신혼부부나 관광객들은 유채꽃의 정취에 취해 잠시나마 속세의 번거로움을 잊은 듯 마냥 어린애처럼 즐거워한다. ... ...
3월 하늘의 북두칠성 시계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조금씩 변해 가는 계절이다. 햇빛도 서서히 강해지면서, 나무에선 초록 잎새가 나오고
남쪽
에서는 개화 전선이 북상해 올라온다. 3월 21일은 태양이 하늘의 적도에 위치하는 춘분이다. 점점 밤 시간이 짧아지고, 낮 시간이 길어지는 것이다. 밤하늘도 1등성이 많은 겨울 별자리들이 서쪽하늘로 기울고 ... ...
따뜻한 겨울 뒤에 라마마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의 합성어이다. 라마마는 엘니뇨나 라니냐와 달리 태평양의 북쪽에서 서쪽, 그리고
남쪽
으로 이어져 나타나는 C자형 또는 말굽 형태의 고수온대가 태평양 동쪽의 저수온대를 감싸고 나타나는 현상을 가리킨다. 이 용어는 현재 미 항공우주국 제트추진연구소(JPL)가 사용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 ...
한국인의 눈이 작은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정착하면서 본격적인 농경 생활을 시작한 것으로 추측된다. 원래의 ‘뼈대’는 따뜻한
남쪽
나라가 아니라 혹독한 추위가 지배하던 지역이었다는 말이다. 이쯤 알았으니 다음 겨울에는 영하 10℃ 정도의 추위는 아무렇지도 않게 느껴지지 않을까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