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d라이브러리
"
남쪽
"(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민족 산학의 뿌리 '구장산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남쪽
막대그림자와 막대간 거리의 곱을 나뉨수로 삼아서 나눠주면, 곧
남쪽
막대로부터
남쪽
의 해 바로 아래에 있는 곳까지의 거리가 된다”고 한 유휘의 말과 정확하게 일치함을 알 수 있다.세계최초로 행렬식 개발한 일본인개개인이 자라나면서 수학적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은 상당한 정도까지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그러나 3일 밤 10시부터 자정 사이에 복사점의 고도가 낮을 때는 북두칠성 아래에서
남쪽
오리온자리쪽으로 별똥별이 가끔 천천히 길게 흘러가는 모습도 발견할 수 있다. 드물지만 이런 모습은 놀라운 감동을 느끼게 해준다. 도시에서도 주위의 불빛이 직접 눈에 들어오지 않는 장소에서는 밝은 ... ...
내일은 해가 어디에서 뜰까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달라진다. 춘분때 해는 정동 방향에서 뜨지만 한달 전에는, 즉 2월에는 정동 방향보다
남쪽
에서 뜨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 (4)의 정답은 여전히 C다. 하지만 한달 후에는, 즉 4월에는 해는 정동 방향보다 북쪽에서 뜬다. 따라서 문제(5)의 정답은 B다 ... ...
한민족 고유의 바닥 난방, 구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아자방이렇게 완성된 구들에 대해 불가사의한 전설이 내려온다. 지리산 반야봉의 동
남쪽
해발 약 8백m 고지에 자리잡은 칠불사에는 신라 금관가야에서 온 구들도사 담공선사가 만든 ‘아자방’이라는 구들방이 있었다. 고래모양이 아(亞)자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인데, 이 방에 불을 한번 지피면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기울기가 변한다(그림). 올해부터 2002년까지 고리의 기울기가 가장 크기 때문에 고리의
남쪽
아래 면이 아주 잘 보이는 시기다. 1백배율 정도부터 앙증맞은 고리의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좀더 크고 멋진 모습을 보려면 과학관이나 공공천문대의 좀더 큰 망원경을 이용해 3백배 이상의 배율로 관찰해야 ... ...
7. 사막에 세워진 대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가장 특이한 점은 높이 20cm, 폭 22cm의 천체창이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천문학자 트림블은
남쪽
의 환기구멍이 기원전 2600년에서 기원전 2400년경의 오리온자리 세별에 정확하게 조준돼 있다는 것을 발표했다.이것을 근거로 환기 구멍이라기보다는 천체창이라는 명칭으로 더 많이 불린다. 실제로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대체로 사람의 팔이 닿으며 조각을 새기는데 유리한 조건을 선택한 듯하다.강가 근처 동
남쪽
향해 위치그림이 새겨진 바위 면은 대부분 동향 또는 남향이어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햇볕을 받는다. 또 대체로 강가의 바위절벽에 위치한다. 암각화가 태양과 물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음을 직잠케 해주는 ... ...
내장산 단풍이 더 아름다운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남부기후대의 개서어나무가 함께 있다. 또 내장산은 비자나무나 굴거리나무와 같이
남쪽
에 자라는 수종이 자랄 수 있는 북쪽 한계선이기도 하다.물론 내장산의 지형적인 요건이 단풍의 아름다움을 증가시킨다. 가을이 되면 천혜의 지형을 가진 내장산에서 다양한 식물들이 온갖 가을빛깔을 만들어 ... ...
붉은 시리우스가 청백색으로 변신한 사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알리는 오리온자리의 1등성 베텔게우스다. 다시
남쪽
으로 눈을 돌리면 푸르게 빛나는
남쪽
물고기자리 1등성인 포말하우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두별은 확연히 다른 색의 대조를 느낄 수 있다. 색의 대비가 아름다운 별의 조합으로는 서쪽 지평선 위에 걸려있는 백조자리의 베타별인 ... ...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커다란 멕시코모자와 똑같다. 이름도 멕시코모자를 뜻하는 ‘솜브레로’다.처녀자리
남쪽
까마귀자리에는 특이한 모양의 은하가 발견된다. 마치 곤충의 더듬이를 닮았다고 해서 ‘더듬이은하’로 불린다. 더듬이은하는 실제로 두개의 은하(NGC 4038/4039)가 충돌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끔직한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