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d라이브러리
"
남쪽
"(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내일은 해가 어디에서 뜰까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달라진다. 춘분때 해는 정동 방향에서 뜨지만 한달 전에는, 즉 2월에는 정동 방향보다
남쪽
에서 뜨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 (4)의 정답은 여전히 C다. 하지만 한달 후에는, 즉 4월에는 해는 정동 방향보다 북쪽에서 뜬다. 따라서 문제(5)의 정답은 B다 ... ...
1. 단군성전은 실재하는가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논란이 제기돼 왔다.그런데 1993년 10월 북한학자들은 평양시 강동군 강동읍 대박산 동
남쪽
기슭에 있는 단군릉에서 단군과 부인의 유골을 발견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과연 이 유골이 5천년 전 고조선을 세운 단군의 것일까.빈약한 신상명세서역사자료는 단군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한다. 그런데 ... ...
한민족 고유의 바닥 난방, 구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아자방이렇게 완성된 구들에 대해 불가사의한 전설이 내려온다. 지리산 반야봉의 동
남쪽
해발 약 8백m 고지에 자리잡은 칠불사에는 신라 금관가야에서 온 구들도사 담공선사가 만든 ‘아자방’이라는 구들방이 있었다. 고래모양이 아(亞)자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인데, 이 방에 불을 한번 지피면 ... ...
우리민족 산학의 뿌리 '구장산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남쪽
막대그림자와 막대간 거리의 곱을 나뉨수로 삼아서 나눠주면, 곧
남쪽
막대로부터
남쪽
의 해 바로 아래에 있는 곳까지의 거리가 된다”고 한 유휘의 말과 정확하게 일치함을 알 수 있다.세계최초로 행렬식 개발한 일본인개개인이 자라나면서 수학적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은 상당한 정도까지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기울기가 변한다(그림). 올해부터 2002년까지 고리의 기울기가 가장 크기 때문에 고리의
남쪽
아래 면이 아주 잘 보이는 시기다. 1백배율 정도부터 앙증맞은 고리의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좀더 크고 멋진 모습을 보려면 과학관이나 공공천문대의 좀더 큰 망원경을 이용해 3백배 이상의 배율로 관찰해야 ... ...
7. 사막에 세워진 대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가장 특이한 점은 높이 20cm, 폭 22cm의 천체창이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천문학자 트림블은
남쪽
의 환기구멍이 기원전 2600년에서 기원전 2400년경의 오리온자리 세별에 정확하게 조준돼 있다는 것을 발표했다.이것을 근거로 환기 구멍이라기보다는 천체창이라는 명칭으로 더 많이 불린다. 실제로 ... ...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커다란 멕시코모자와 똑같다. 이름도 멕시코모자를 뜻하는 ‘솜브레로’다.처녀자리
남쪽
까마귀자리에는 특이한 모양의 은하가 발견된다. 마치 곤충의 더듬이를 닮았다고 해서 ‘더듬이은하’로 불린다. 더듬이은하는 실제로 두개의 은하(NGC 4038/4039)가 충돌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끔직한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대체로 사람의 팔이 닿으며 조각을 새기는데 유리한 조건을 선택한 듯하다.강가 근처 동
남쪽
향해 위치그림이 새겨진 바위 면은 대부분 동향 또는 남향이어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햇볕을 받는다. 또 대체로 강가의 바위절벽에 위치한다. 암각화가 태양과 물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음을 직잠케 해주는 ... ...
붉은 시리우스가 청백색으로 변신한 사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알리는 오리온자리의 1등성 베텔게우스다. 다시
남쪽
으로 눈을 돌리면 푸르게 빛나는
남쪽
물고기자리 1등성인 포말하우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두별은 확연히 다른 색의 대조를 느낄 수 있다. 색의 대비가 아름다운 별의 조합으로는 서쪽 지평선 위에 걸려있는 백조자리의 베타별인 ... ...
내장산 단풍이 더 아름다운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남부기후대의 개서어나무가 함께 있다. 또 내장산은 비자나무나 굴거리나무와 같이
남쪽
에 자라는 수종이 자랄 수 있는 북쪽 한계선이기도 하다.물론 내장산의 지형적인 요건이 단풍의 아름다움을 증가시킨다. 가을이 되면 천혜의 지형을 가진 내장산에서 다양한 식물들이 온갖 가을빛깔을 만들어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