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1,612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 있는 화석으로 광합성의 기원 찾다
과학동아
l
201203
식물은 어떻게 광합성을 할 수 있게 됐을까. 지구에 나타난 최초의 독립영양생명체는 시아노박테리아(광합성을 하는 단세포세균)다. 약 35억 년 전 원시 지구에는 산소 ...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를 만들게 된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2월 17
일자
에 실렸다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03
64배나 늘어나도 구기는 데 드는 힘은 고작 2배만 늘어났다.이 연구 결과는 1995년 12월 1
일자
과학지 ‘사이언스’에 발표됐다. 구겨진 종이를 수학적으로 풀어보려는 최초의 시도였다. 그로부터 15년이 넘었지만 물리학자들은 여전히 구겨진 종이를 완벽하게 수학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힘 센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02
망원경,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참조).최근 과학저널 ‘네이처(2011년 12월 1
일자
)’에 실린 감마선 분출 현상도 특이하다. 역시 스위프트 위성이 2010년 12월 25일, 즉 크리스마스 때 관측해 ‘크리스마스 감마선폭발’로 불린 GRB 101225A(A는 이날 관측된 첫 번째 GRB라는 뜻)가 그 주인공.이 현상이 ... ...
우주에 흔한 게 행성
과학동아
l
201202
태양계 밖에서 지구와 닮은 행성을 찾았다는 소식은 언제나 큰 화제가 된다. 지구와 닮은 행성은 물론 행성을 찾는 일조차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실은 행성이 흔한 존 ... 2 정도였다. 별에 행성이 있는 건 흔한 일이라는 주장이다.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1월 12
일자
에 실렸다 ... ...
하드디스크 용량 100배로 늘어날까
과학동아
l
201202
아직은 온도가 조금만 올라가도 작동하지 않는다. 하인리히 박사는 ‘사이언스’ 1월 13
일자
에 실린 논문에서 “이 결과는 두 가지 상태로 바뀔 수 있는 반강자성체 나노구조물이 미래의 데이터 저장 수단이 될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철원자 12개(네모로 묶인 부분)가 각각 0 또는 1을 ... ...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 “제올라이트 연구로 사이언스 10대 성과에 뽑혔습니다”
과학동아
l
201202
내부 구조를 밝히는 일이었다. 미국에서도 손꼽히는 명문대를 졸업했지만 국내에서
일자
리를 찾기가 쉽지 않았다. 학부가 ‘화학과’가 아니라 ‘화공과’ 출신이어서 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음에도 화학과에서 뽑아주지 않았던 것. 지금이야 학문간 융합 시대이지만 당시만 해도 순혈(純血 ... ...
인공눈, 누가 만들까?
과학동아
l
201201
응결핵이 바로 슈도모나스 시링가이 같은 세균이라는 가설을 ‘사이언스’ 2008년 2월 29
일자
에 발표했다.눈 만드는 세균 발견1975년, 미국 위스콘신대의 대학원생인 스티브 린도우는 식물에 냉해를 입히는 세균인 ‘슈도모나스 시링가이(Pseudomonas syringae )’가 눈을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이 ... ...
곤충 껍질만큼 가볍고 단단한 플라스틱 나왔다
과학동아
l
201201
풍뎅이나 딱정벌레 같은 곤충을 떠올리면 생각나는 것은 바로 반질반질 윤이 나는 단단한 껍질이 아닐까. 곤충의 트레이드마크인 이 껍질은 알루미늄만큼 강하다. 미국 하 ... 기저귀를 만들 때 특히 유용하다. 연구 결과는 과학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2월 13
일자
에 실렸다 ... ...
당구치는 법만 알면 빈집도 턴다?
과학동아
l
201201
자판기와 사무용 서랍에 많이 사용한다. 원리는 실린더형 자물쇠와 같다. 튜블라형은
일자
로 쭉 늘어선 실리더형의 핀을 둥글게 배치한다. 열쇠가 들어가면서 열쇠는 바닥핀을, 바닥 핀은 드라이버 핀을 밀어낸다. 이어 드라이버 핀이 스프링을 밀어 올려 두 핀의 경계가 플러그와 실린더 사이에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01
사람의 단백질을 만들어내게 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1977년 12월 9
일자
‘사이언스’에 실렸고 언론에 대서특필됐다. 이제 사람들은 박테리아가 인슐린도 만들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됐다. 소마토스타틴의 성공을 확인한 바로 다음날부터 리그스 박사팀은 인공 인슐린 유전자를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