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1,61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불꽃놀이 ‘거대 플레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06
태양과 비슷한 주계열성에서 태양보다 최대 1만 배 강한 거대 플레어(슈퍼플레어)가 생기는 과정이 처음 상세히 밝혀졌다.플레어는 별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대기 중 ... 자전할수록 자기장도 강해 플레어도 크게 일어난다’는 이론과 일치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5월 16
일자
에 실렸다 ... ...
서울·런던 지하철 왜 비슷할까
과학동아
l
201206
구조를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밝히고 그 결과를 ‘영국왕립학회보 인터페이스’ 5월 16
일자
에 발표했다.현재 인구가 1000만 명이 넘는 거대도시(메가시티) 가운데 지하철을 건설하지 않은 곳은 없다. 인구가 100만~200만 명 되는 대도시 중에는 약 4분의 1이 건설했다. 도시는 교통 정체 상황과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06
제니퍼 휴즈 박사와 데이비드 페이지 박사 연구팀은 네이처 2005년 9월 1
일자
에 사람의 Y염색체가 생각보다 오래 보존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600만 년 전쯤 갈라진 사람과 침팬지의 Y염색체를 비교했다. 그 결과 사람보다 침팬지의 Y염색체 변화가 더 컸다. 페이지 박사는 그 이유로 ... ...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
과학동아
l
201205
됐습니다. 벼룩의 초기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겁니다. ‘네이처’ 3월 8
일자
에 논문이 실리기도 했지요. [네이처에 실린 중생대 벼룩 화석 (아래 사진). 아래는 화석을 바탕으로 스케치한 모습이다. 현대의 벼룩(왼쪽 사진)과 크기와 모양을 비교해 볼 수 있다.]공룡 피 빤 거대 ... ...
세균만 골라 죽이는 휴대용 플라스마 손전등
과학동아
l
201205
밑에 있는 세균을 죽일 수 있는 ‘플라스마 손전등’을 개발했다고 ‘물리학 저널’ 4월 5
일자
에 발표했다.플라스마는 고체, 액체, 기체에 이어 제 4의 물질상태로 분류된다. 기체처럼 보이지만 원자나 분자가 높은 에너지를 받아 이온화된 상태를 말한다.연구팀은 12V 배터리를 이용해 저온 ... ...
기름 먹는 신소재, 원유 유출 해결책 될까
과학동아
l
201205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가 발간하는 온라인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 13
일자
에 발표됐다.CNT를 이용해 3차원 구조 물질을 실험하던 연구팀은 CNT에 미량의 붕소를 첨가하자 딱딱해야 하는 CNT가 스펀지처럼 말랑말랑해지는 것을 발견했다. 특히 이 물질은 기름을 흡수하는 능력이 ... ...
곤충의 몸도 뚫는 거미의 송곳니
과학동아
l
201205
거미의 송곳니가 강력한 이유를 밝혀낸 논문을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스’ 4월 17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브라질 늑대 거미의 일종인 ‘쿠피니어스 살레이(Cupiennius salei)’의 송곳니 구조와 성분, 아연과 칼슘 등 금속이온의 농도변화 등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거미의 송곳니는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04
나노박스를 만든 뒤 이 안에 나노 짐을 싣는데 성공했다고 과학저널 ‘사이언스’ 2월 17
일자
에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짐이 달라붙을 수 있게 끝이 돌출된 스테이플 가닥 12개가 박스 내부에 놓이게 DNA오리가미를 설계했다. 그리고 여기에 금나노입자나 항체 같은 나노입자를 붙이는 데 성공했다. ... ...
짝 없는 초파리, 맨날 술이야~
과학동아
l
201204
거부당한 수컷 초파리가 알코올이 있는 음식을 많이 섭취한다고 ‘사이언스’ 3월 16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짝짓기를 하지 않은 ‘총각’ 초파리를 두 그룹으로 나눈 뒤 교미할 준비가 된 ‘처녀’ 초파리와 이미 교미를 마친 암컷 초파리 집단에 넣고 4일간 관찰했다. 처녀 초파리와 만난 총각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04
쪽의 피부 표면에 지문 같은 패턴이 있다.한편 미국의 과학저널 ‘사이언스’ 2009년 3월 13
일자
에 실린 논문은 지문의 기능을 다른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다. 즉 지문은 미끄럼 방지 기능 보다는 촉각을 예민하게 하기 위한 구조라는 것. 연구자들은 말단의 신경 역할을 하는 촉각센서를 만든 뒤 하나는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