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8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력 후보 사라졌다…국산 2호 코로나19 치료제 누가 차지하나
연합뉴스
l
2021.03.18
9 혈장치료제 허가 신청을 위한 막바지 작업에 한창이다. GC녹십자는 지난해 12월 31
일자
로 코로나19 혈장치료제 'GC5131A'의 임상 2상 시험 대상자에 대한 투약을 마치고, 지금껏 관련 데이터를 분석, 정리해 왔다. GC녹십자 관계자는 "현재 데이터를 정리 중"이라며 "1분기 내 분석을 완료한 뒤 4월에는 ... ...
눈물샘 세포 키웠더니 30분 만에 세포가 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연구팀은 눈물을 흘릴 수 있는 눈물샘 오가노이드를 만들어 국제학술지 ‘셀스템셀’ 16
일자
에 공개했다. 오가노이드는 사람이나 동물의 세포를 배양해 만든 일종의 ‘미니 인공장기’다. 클레버르스 연구팀은 2009년 세계에서 처음으로 인간의 장 줄기세포를 키워 장 오가노이드를 만드는 등 ... ...
연간 50억 번 내리친 번개, 원시 생명체 탄생 도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진학한 뒤 이 돌덩이를 연구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6
일자
에 발표했다. 그는 논문의 제1 저자다. 연구에 따르면 당시 가정집 뒷마당에 떨어진 건 운석이 아니었다. 모래나 흙, 돌멩이에 번개가 치면 섬전암(fulgurite)으로 불리는 유리질 암석이 생성되는데, 뒷마당에 운석이 ... ...
그린란드 빙하 1.4km 아래에서 발견된 나뭇잎…“그린란드는 한 때 ‘녹색땅’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버몬트대 지질학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15
일자
에 그린란드를 덮고 있는 얼음이 지난 100만 년 동안 최소 한 차례 이상 대부분 녹아내린 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그린란드의 얼음이 예상보다 훨씬 더 쉽게 녹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구팀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만년 전 매머드 게놈 해독해보니
2021.03.16
비교를 위해 맨 왼쪽에 사람이 그려져 있다. 위키피디아 제공 ‘네이처’ 2021년 3월 11
일자
에는 100만 년도 더 된 초기 플라이스토세(258만~78만 년 전) 매머드 시료 두 점과 약 60만 년 전 중기 플라이스토세(78만~12만9000 년 전) 매머드 시료 한 점의 게놈을 해독해 매머드 진화 경로를 밝힌 연구결과가 ... ...
‘뭉치면 강한’ 검은벌레 로봇에 활용한다면
과학동아
l
2021.03.16
캘리포니아 검은벌레(Lumbriculus variegatus) 얕은 물가나 늪지에 사는 캘리포니아 검은벌레(Lumbriculus variegatus)는 수천 마리가 얽혀 하나의 생명체처럼 행동한다. 이 군 ...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월 9
일자
에 실렸다. doi: 10.1073/pnas.2010542118 ... ...
시베리아 바이칼 호수 1.3km 밑엔 세계 최대 수중 ‘유령입자’ 검출기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비밀을 푸는 게 목적이다. 최근 아이스큐브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10
일자
에 ‘글래스하우 공명’으로 불리는 고에너지 입자 샤워 현상을 관측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글래스하우 공명은 중성미자의 반(反)입자인 반중성미자 중에서도 전자 반중성미자가 존재할 때 나타나는 것으로 ... ...
빨고 말리고, 스스로 전기 생산하는 입는 컴퓨터 시대가 오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세척하고 건조해도 성능에 문제가 없는 전자섬유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0
일자
(현지시간)에 공개했다. 이 전자섬유는 길이 6m에 너비 25cm로 이를 오토바이 운전자의 팔목에 옷감처럼 사용해 내비게이션화면으로 활용하거나 스마트폰과 연결해 메시지도 보낼 수 있다. 바람도 잘 통해 ... ...
[표지로 읽는 과학]북극서 번식한 ‘팰컨’이 월동지를 찾아가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1.03.13
경로와 유전체 데이터, 고기후 데이터 등을 결합해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네이처’ 10
일자
(현지시간)에 발표했다. 수백만 마리의 철새가 북극에서 번식한 뒤 겨울철 월동을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지만 이동 경로가 어떻게 형성돼 유지됐는지에 대한 환경적, 유전적 요인에 대해서는 거의 ... ...
화이자 백신 효과 97%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94%였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 인터넷판 2월 24
일자
(현지시간)에 발표했었다. 한편 한국은 지난달 26일 코백스로부터 화이자 백신 5만8500명 분을 제공받아 접종 중이며 오는 6월까지 총 350만 명 분을 개별 구매를 통해 도입할 예정이다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