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8건 검색되었습니다.
눈물샘 오가노이드에서 눈물이 흐른다
과학동아
l
2021.04.07
발생학 및 줄기세포 연구단장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셀 스템 셀’ 3월 16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6년 자체 개발한 오가노이드 배양 기술을 이용해 쥐와 사람의 눈물샘 성체줄기세포를 키웠다. 성체줄기세포는 성장 관련 인자를 혼합한 배양액에서 자란 지 10일 뒤 지름 0.2mm ... ...
“코로나 확진자 3명 중 1명은 반년 내 뇌신경·정신질환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1.04.07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랜싯 정신과학’ 6
일자
에 발표했다. 코로나19에 감염되면 뇌신경계 질환 진단이 정신건강 질환 진단을 받을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는 있었다. 감염된 뒤 첫 3개월 동안 불안감이나 감정장애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도 ... ...
"전국 보건소·임시선별 진료소에서 코로나19 무료 검사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1.04.07
받을 수 있었던 임시선별검사소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던 문제도 해결된다. 자세한 시행
일자
와 지침은 조만간 중앙방역대책본부가 지자체에 공문을 발송할 예정이다. 윤 반장은 "현재 보건소에서 예방접종에 많은 인력을 투입하고 있기 때문에 보건소의 코로나19 검사가 확대되면 그만큼 ... ...
EMA 관계자 "백신과 혈전 인과관계" 파문
일자
EMA "공식 결론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1.04.07
국가들에서 혼란이 일고 있다. EMA는 이 관계자의 발언이 보도된 직후 논란이
일자
"현재 이 관계에 대해 검토가 이뤄지고 있으며 최종 결론을 내리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EMA는 유럽연합(EU) 산하의 의약품 평가와 승인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 ...
미국 아동 4만명 코로나19로 부모 중 한쪽 잃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7
교수팀은 이 같은 내용의 연구를 국제학술지 '미국의사협회지(JAMA) 소아과학' 인터넷판 5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난달까지 미국에서 코로나19로 사망한 사람의 데이터와 교통량 변화, 병원균 확산 분석에 쓰이는 마이크로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해 18세가 되지 않은 미국 아동 중 부모 중 최소 ... ...
후쿠시마 오염수 삼중수소 분리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7
오현철 경상국립대 교수와 박지태 뮌헨공대 박사. 과기정통부 제공. 한국과 독일에서 활동하는 과학자들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에 포함돼 있지만 사실상 제거가 ... 이번 연구성과는 신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표지논문 7
일자
(한국시간)에 게재됐다 ... ...
코로나19로 숨진 우주과학자, 화성의 언덕 이름으로 영원히 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삼산화질소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 국제학술지 'JGR 플래닛' 12월 19
일자
에 실었다. 그는 화성 연구뿐 아니라 지구에서 번개가 생명체 발생에 끼친 영향을 연구하는 등 다양한 연구를 해오다 코로나19에 감염돼 올 1월 28일 합병증으로 숨졌다. 큐리오시티 연구팀이 화성에 굴착한 ... ...
미 연구팀 "혈액형과 코로나19는 무관해"…감염 위험 높다던 A형이 O형보다 양성률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인터마운틴 메디컬센터 등 공동 연구진은 ‘미국의사협회지(JAMA) 네트워크 오픈’ 5
일자
에 발표한 논문에서 “코로나19와 ABO 혈액형 사이에는 어떠한 구체적인 관계도 확인되지 않았다”며 코로나19와 혈액형 사이의 연관성을 전면 부인했다. 연구진은 이 연구가 10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 ...
이차원 반도체 물질 형성될 때 일차원 구조 거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머티어리얼스 투데이’ 인터넷판 3월 17
일자
에 실렸다. 이황화몰리브덴 분자들이 층을 형성하기 전 단면이 삼각형인 여러 줄로 늘어선다(오른쪽 그림 네모 칸). 연구팀은 이황화몰리브덴의 층이 쌓이다 보면 반도체 특성이 특정 순간 n형에서 p형으로 ... ...
해조류 먹은 소는 메탄 방귀 덜 뀐다
과학동아
l
2021.04.06
메탄 배출량을 80% 이상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로스원’ 3월 17
일자
에 발표했다. doi: 10.1371/journal.pone.0247820 연구팀은 소에게 매일 약 46.7~99.4g의 바다고리풀(Asparagopsis taxiformis)을 첨가한 사료를 먹이며 21주간 체중과 메탄 배출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 소의 체중은 정상적으로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