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optics
기하광학
기하
물리광학
물리
뉴스
"
광학
"(으)로 총 1,098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나노막대 사용해 빛 손실 문제 해결한 초박막 편광필름 제작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1저자로 연구에 참여했다. 반도체 나노막대는 막대의 긴 방향을 따라 편광 빛을 독특한
광학
특성이 존재한다. 이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막대한 빛 손실을 가져왔던 기존 편광판을 대체할 수 있는 나노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단일 나노막대의 편광 특성을 소자 면적 필름에서 구현하기 ... ...
쌀알보다 작지만 민감도 1000배 높아진 '나노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3
빠르게 검출하는 나노센서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나노센서는 나노미터 크기의
광학
금속 센서를 이용해 유해가스를 검출하거나 분자를 검출하는, 총 크기가 0.1~0.2mm 수준의 소형 센서다. 제작이 복잡하다는 점이 상용화를 가로막는 단점으로 꼽혀왔다. 연구팀은 가늘고 긴 관 내부에서 금속 ... ...
4K급 화질로 증강현실 콘텐츠 보는 HMD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12
데이터를 변형시켜 투과하거나 반사된 빛의 형태를 원하는 대로 만들기 위해 제작한
광학
소자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AR HMD가 동급 외산 장비에 비해 가격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기대했다. 또 향후 홀로그래픽 3D 영상을 HMD상에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했다. ... ...
그래핀 대체재 흑린 성능 떨어지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불리는 그래핀과 유사하다. 흑린은 그래핀과 마찬가지로 2차원 박리가 가능하며 전기적‧
광학
적 성질이 매우 우수하다. 전류 제어가 어려운 그래핀과 달리 전기전동성을 결정하는 에너지 준위 차인 밴드갭을 조절해 전류 제어가 가능해 전자소자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공기 중 ... ...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2019.03.10
볼 수 있는 가시광과 비교해 전파 대역에서 동일한 분해능을 얻으려면 망원경의 크기가
광학
망원경에 비해 수천 배 이상 커야 한다. 그렇다면 블랙홀을 굳이 전파 대역에서 관측할 필요가 있을까?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 번째 이유는 빛의 파동성을 활용한 간섭계 기술로 지구만한 ... ...
천리안2B호·달탐사 연기 불가피…'누리호' 후속모델 공식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3.07
전 세계에 5기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별도로 2022년까지 한반도 상공 유성체 감시용
광학
카메라 25기를 설치하는 유성체감시네트워크를 추진키로 했다. 문미옥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우주정책은 외교, 안보, 산업·표준 등 다양한 이슈의 복합체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관련 부처 간 ... ...
'차세대염기서열분석' 정확도 높일 오류검증 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별도로 재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NGS 결과에서는 DNA 변이로 분석되지만 실제로는
광학
적 감지 오류임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런 식으로 최종적으로 0.003% 변이율의 DNA 변이까지 분석이 가능함을 증명했다. 또 NGS 기기 자체에서 정해지는 품질 점수(Q-score)에 의존하던 기존의 검증법의 한계를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최현용 교수 “기술 발전은 과학적 이해가 선행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차순영, 노민지 연구원에게 공을 돌리고 싶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초고속 레이저
광학
기술을 기반으로 엑시톤과 양자 위상 상태의 완벽한 빛-물질 상호작용 제어에 도전하고 싶다”며 “모든 과학자가 꿈꾸는 이상적인 목표지만, 달성되지 못해도 연구 중에 파생돼 나오거나 필요한 기술 ... ...
다채로운 색 구현하는 나노 필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기존 구조색 색상 필터의 단점을 극복한 게 특징이다. 송영민 교수는 “초박막
광학
필터나 태양전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 반도체 물질을 사용하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며 “접히는 위조방지 홀로그램 스티커로도 응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 ...
딥페이크 만들던 AI기술로 태양 뒷면 자기장 관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만든 자기장 영상은 실제 97%의 일치도를 보였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AIA 센서와 같은
광학
특성을 갖는 STEREO 위성의 극자외선영상(EUVI) 센서 영상을 AI에 입력했다. AI는 이를 토대로 태양 뒷면의 자기장 영상을 생성해냈다. 연구팀은 태양의 자전 주기를 토대로 예측할 수 있는 흑점의 위치를 통해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