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글꼴 · 로마자꼴을 해부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한글꼴을 해부하다 ❶ 기둥: 홀자(모음)에서 세로로 길게 뻗은 획으로 글자내에서 가장 굵다. 과거 세로쓰기 한글에서는 기둥의 위치에 따라 글자의 ... 방법이다. 한글에서도 커닝을 활용하지만, 로마자는 글자의 모양에 따라 느껴지는 공간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커닝 값 조절이 필수다 ... ...
-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필요한 이유죠. 윌로우 프로젝트에서는 한글과 라틴, 그리스 문자마다 문장부호의 크기와 위치를 다르게 하고 각 문자의 쓰기 방향과 속도를 고려해 글자의 기울기와 획의 대비를 다르게 했어요.”그는 홍익대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했고 고운한글과 아리따부리와 같은 서체를 디자인했다. ... ...
- 소형모듈원전(SMR), 기후위기 구원투수될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있다. SMR의 목표는 단 하나, 안전SMR은 높이가 아파트 8층 정도인, 기존 원전에 비해 크기가 작은 원자로다. 지난해 8월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가 미국 원전 기업 뉴스케일파워가 개발한 SMR에 대해 설계인증을 하면서 큰 관심을 모았다. 김용희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는 “설계인증은 ... ...
- [4컷 만화] 최소한의 유전자로 산다! 미니멀 인공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유전자로도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보였지만, 균일해야 하는 자손 세대 세포들의 크기가 뒤죽박죽이라는 문제가 있었어요. 스트찰스키 박사팀은 JCVI-syn3.0보다 유전자가 76개 많았던 실험체 하나가 정상적인 자손 세포를 만든다는 것에 주목했어요.76개의 유전자 중 일부를 없애보며 실험한 결과, JCVI ... ...
- [기획] 초능력자 물곰도 사랑은 어려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닥틸로비오투스 오비뮤탄스(Dactylobiotus ovimutans)’가 세상에 처음 알려지는 순간이에요. 크기 700~800μm로, 평균보다 조금 큰 이 물곰은 남극 빙하 호수에서 윤형동물●이나 클로렐라를 먹으며 살아왔어요.이제 신종 물곰은 머나먼 여정에 올라요. 우리나라 첫 쇄빙선●인 아라온호의 냉장고 한 칸에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소용돌이를 일으킨 뒤, 자신의 입속으로 빨려오는 작은 플랑크톤을 잡아먹어요. 몸의 크기는 0.1~0.5㎜ 정도로 작지만, 몸속에 생식계, 배설계, 소화계 등 여러 기관을 고루 갖추고 있어요. 게다가 인간의 턱과 비슷한, 집게 모양의 ‘저작기’를 이용해 먹이를 씹어먹지요. 전 세계적으로 2000여 종의 ... ...
- [기획] 2020 도쿄올림픽 스케이트 보딩, 서핑 그리고 스포츠 클라이밍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높은 부분(피크)에 가까운 선수가 통행권을 가집니다. 스포츠 클라이밍 모양과 크기가 다양한 ‘핸드 홀드(손으로 잡는 부분)’와 ‘풋 홀드(발을 올리는 부분)’가 박힌 가파른 경사면을 힘과 기술을 이용해 등반하는 경기입니다. 스포츠 클라이밍은 두 선수가 15m 암벽을 얼마나 빨리 ... ...
- [연중기획] 학교에서 배우는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3탄수학동아 l2021년 09호
- 기준으로 캔인지 페트병인지 구별하죠. 한 예로 오른쪽 그림의 물체는 윗면과 밑면의 크기가 같고, 밑면이 원 모양이며 색깔이 다양해 캔이라고 판단합니다. 소리나 문자 인식 역시 인공지능이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해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세우고, 이를 바탕으로 인식합니다. 이때 인공지능이 ... ...
- 서울 땅 3m 아래 조선의 금속 유물과 만나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일성정시의는 세종 때 4점이 제작된 기록이 있고 ‘세종실록’에 적힌 일성정시의와 크기가 유사한 것으로 보아 그 4점 중 하나인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설렌 모습으로 한 시간 넘게 일성정시의의 사용법을 설명하던 이용삼 교수의 모습이 아직도 인상깊게 남아있다.마지막으로 풀어야 할 ... ...
- [특집] 땅에 묻혀있던 하늘이 드러나다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정밀한 관측 기기지만 크고 무거워 군대에서 사용하기는 불편했습니다. 그래서 크기가 작고 사용법이 단순해 천문학을 잘 모르는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소정시의’를 만들어 사용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일성정시의, 왜 중요할까? 각 지역에서 측정하는 시간은 그 지역의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