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식물, 공장에서 키웁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지면 역할을 한다. 판 위에는 줄기와 잎이, 아래엔 뿌리가 자란다. 자세히 보면 판의 크기는 모두 같지만, 선반마다 판에 뚫린 구멍 수가 다르다. LED 조명 색도 조금씩 다르다. 채소의 생장 단계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육묘가 끝난 새싹은 구멍이 100개 뚫린 판에 옮겨심는다. 이 과정을 이식이라고 ... ...
- [특집] 메타버스에서 콘서트, 졸업식, 팬사인회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하는 거야? ‘컴퓨터 비전’이라는 기술로 사진에서 눈, 피부, 머리 등의 색상과 모양, 크기 정보는 물론, 얼굴의 전체적인 굴곡과 모양 등의 정보를 추출해. 이를 기계 학습된 알고리즘으로 데이터값을 변경해 제페토 아바타 얼굴에 적용한 거야. Q제페토는 메타버스의 미래를 어떻게 그리고 있니 ... ...
- 폴리매스 정보통! 로블록스로 창의력과 수학 실력을 한 번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프로그램의 사용 방법과 지형 만들기, 아이템 배치 방법 등을 배웠어요. 또 블록의 크기와 모양을 직접 조절하고 색을 바꾸며 횃불도 만들기도 했답니다! 여러분도 자신만의 섬을 만들고 싶다면 동아사이언스 유튜브 채널에 접속해 영상을 보며 따라 해보세요! 스크립트를 사용해 섬과 섬 사이를 슝~ ... ...
- 슈퍼 컴퓨터 성능이 궁금해? 원주율 계산에 도전해 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정확하고 빠르게 구하는 것이 기본 목표다”며 “그 과정에서 슈퍼컴퓨터의 물리적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연산 알고리듬을 찾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임현식 동국대학교 물리반도체과학부 교수도 “슈퍼컴퓨터의 성능은 CPU 등의 장치뿐만 아니라 연산속도가 빠르면서도 ...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계미자보다 작고 단정한 활자인 ‘경자자’, 1434년 다시 크기를 약간 키우고 각 활자의 크기를 동일하게 만든 ‘갑인자’가 만들어졌다. 갑인자는 대나무를 사용해 빈 곳을 메우는 방식을 적용해 글자 간격도 일정해졌다. 이때 처음으로 한글 활자도 주조됐다. 김혜연 국립한글박물관 글꼴연구팀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운봉산에 쌓인 돌무더기, 사실은 빙하기의 증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쑥 들어간 부분이 나타나게 되지요. 또, 암괴류의 아래쪽일수록 주상절리 조각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사실도 증거가 돼요. 주상절리 조각이 얼음을 타고 내려가면서 서로 부딪혀 깨졌을 테니까요.운봉산의 암석 빙하는 한때 이곳의 기후가 매우 추웠다는 증거입니다. 암석 빙하가 존재하려면 일 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쪼그라든 풍선, 손대지 않고 부풀릴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화학 실험실 세트’로 직접 화학실험을 해 봐요! 화학 실험실 세트에는 펌프, 여러 가지 크기의 용기, 페트리 접시, 비커, 플라스크, 밸브 등 화학실험에 쓸 수 있는 다양한 부품이 들어 있어요. 이 부품들을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 무려 30가지의 실험을 할 수 있지요.우선 받침대와 케이스를 ... ...
- 기술검증│인류 지식의 최전선을 시험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우주 비행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론일 뿐, 추진체 하나의 크기가 길이 약 200m, 직경 12m로 거대해야 하며, 키보드를 누르는 정도의 힘인 1N의 추력을 생성하는 데 165MW(메가와트)라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해 현실적으로 개발은 어렵다. 김 교수는 “군사 분야의 연구가 아무리 ...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 연구원이 65세 노인을 대상으로 한 2016년 실험에서는 모든 글자 크기 조건에서 바탕체가 돋움체보다 읽는 속도가 빨랐다. doi: 10.5392/JKCA.2016.16.11.661박윤정 국민대 시각디자인학과 교수는 “한글의 영역에서 바탕체는 오랫동안 글자 세계를 지배해 왔다”며 “익숙함이 ... ...
- 누리호 발사 카운트다운, 숨겨진 공로자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맞게 조절하는 등 발사체 세부 통제를 여기서 하고 있다.제2발사대는 이전의 발사대보다 크기만 커진 것이 아니다. 가장 큰 차이는 47m 높이의 초록색 구조물, 엄빌리컬(umbilical·탯줄처럼 연결된) 타워다. 고체 연료 발사체는 로켓 안에 미리 추진제를 넣어놓을 수 있지만 액체 연료 발사체는 마지막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