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옆
옆면
경사면
사이드
가장자리
변두리
횡면
d라이브러리
"
측면
"(으)로 총 1,774건 검색되었습니다.
3. 난분해성 폐수 걸러내는 나노막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최대한 길게 함으로써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분리막 시스템은 부피
측면
에서 더욱 매력적이다. 분리막법은 가장 조밀한 폐수처리 시스템으로 홍콩과 싱가포르처럼 인구밀도가 높고 땅이 좁은 나라에서 가장 선호하는 폐수처리 공정이다. 특히 부피가 작아 처리 시설을 2층, 3층과 같이 ... ...
③ 복제 배아에서 얻은 줄기세포 만능일까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그런데 이번 돌리의 사망 소식은 인간배아복제의 윤리적
측면
외에 ‘안전성’에도 문제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사실 인간배아복제는 모든 난치병에 효력을 발휘할 수 없다. 선천적으로 유전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신체의 모든 세포는 유전적 결함을 안고 있다. 즉 ... ...
명배우 뺨치게 연기하는 사이버 배우, 시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진지한 시선으로 바라볼 것이다. 그러나 사이버 배우의 인공 지능은 도덕과 윤리라는
측면
에서 혹독한 검증을 받아야 할 것이다.시몬의 의문점들■ 시몬의 실행 파일과 데이터들이 들어있는 CD를 실행시키면 화면에 ‘시뮬레이션 원’(Simulation one)- 이 글자를 줄인 것이 사이버 배우 시몬(simone)이다 ... ...
미국의 이라크 전에 대한 각국의 지지도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것은 아니지만 동시에 두
측면
을 보는 것은 모순되는 듯이 보이기도 한다 이 때 이 두
측면
은 서로 상보적이라고 하고, 자연에 이러한 상보성이 보편적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상보성 원리이다 보어의 상보성 원리는 모호한 면이 많고 과장된 부분이 많아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 ... ...
혜성 핵을 향한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의 피질에는 황(黃)의 함량이 다르고 화학반응성도 서로 다른 2종의 조직인 정상피질과
측면
피질이 있다 이것들은 양모의 성장과 함께 서로 꼬이면서 자라난다진동의 마디점이나 배 등의 위치가 공간적으로 이동하지 않는 파동 진동이 항상 0인 장소를 마디, 진폭이 최대가 되는 점을 정상파의 ... ...
인간 생명을 구하는 억대 인형 더미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시속 1백km 정도로 달리다가 일어나는 사고와 비슷한 상황이 벌어진다고 말한다.
측면
충돌시험은 시속 62km 정도로 차량 옆면에 장애물을 충돌시키는 실험이다. 차가 옆에서 들이받는 사고는 실제 많지 않기 때문에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운전자의 안전성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운전석 부분만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화면의 색상이나 화상이 제대로 보이지만, 여러 사람이 모니터 한대를 봐야 하는 경우 등
측면
에서 볼 때는 화질이 나빠진다. 그러나 지난 5년 동안 시야각을 넓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돼 여러 사람이 LCD TV를 볼 수 있을 정도로 발전했다.세계 LCD시장 1위 굳히기1983년 처음으로 3인치 액정 TV가 ... ...
병주고 약주는 두 얼굴의 초콜릿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카카오 페이스트를 넣지 않고 카카오 버터를 20% 이상 사용해 만든다.초콜릿의 부정적
측면
을 말할 때 흔히 얘기되는 것 중의 하나는 ‘초콜릿 중독’이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달콤한에 대한 갈망’이 지나쳐 초콜릿 중독에 빠지는 사람의 수가 많아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심지어 ... ...
'사이언스' 선정 2002년 최고 과학 이슈는 소형 RNA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유전자 치료를 받고 치명적 암이 발생한 프랑스인을 예로 들며 유전자 치료의 부정적
측면
에 대한 연구를 선정했다.이 외에도 바이오테러리즘, 윤리적 논쟁에도 불구하고 본격화된 줄기세포의 연구를 2002년 과학계의 최고 과학 이슈로 꼽았다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모으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을 인간에게 적용했을 때는 상황이 다르다. 종교적·윤리적
측면
을 제외하더라도, 과학적으로 상당히 위험한 기술이기 때문이다.복제는 우선 성공률이 낮고 유산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영국 로슬린연구소의 그레이엄 불필드 소장이 복제아기 한명을 탄생시키는데 4백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