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옆
옆면
경사면
사이드
가장자리
변두리
횡면
d라이브러리
"
측면
"(으)로 총 1,774건 검색되었습니다.
3 2020년에는 사이버 섹스도 가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멀리 떨어진 곳에서 보내오는 촉감 정보를 손으로 직접 느낄 수 있다면 정보의 전달
측면
에서 편리한 점이 많을 것이기 때문이다.그러나 촉감정보전달 시스템은 단순히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조 시스템이 아니라, 시각과 청각 위주의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기술로 평가받고 ... ...
갑자기 사라진 김봉한과 봉한학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그러나 봉한학설은 1966년 무렵에 갑자기 사라지게 됐다. 그 이유는 학문적
측면
과 정치적
측면
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분자유전학 연구가 진행되면서 봉한학설에서 주장하는 DNA의 존재와 역할에 의문이 제기되고, 경락 연구가 깊어질수록 기존 생물학 이론과 마찰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 ...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실을 뽑을 수 있다. 전세계적으로 매년 7만t 가량 생산되는 누에 실크는 양과 비용적인
측면
에서 거미 실크보다 훨씬 유리하다. 이 때문에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가 계속 발표되는 상황이다.놀랄만한 우수성을 지닌 거미와 누에 실크를 연구하기 위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 거미와 누에 ... ...
왕따 당하면 두뇌는 육체적 고통 느낀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자라나는 청소년기에는 학교를 중심으로 또래집단과의 친구관계 형성은 두뇌의 발달
측면
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래집단은 가치관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정서적 기반이 되며 활동무대가 되기 때문이다. 왕따를 당하다 보면 제대로 된 가치관을 확립하지 못하고, 정서적으로 ... ...
1 21세기, 촉각을 재발견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후각처럼 한동안 무시돼 왔던 감각의 중요성이 밝혀지면서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이런
측면
을 강화하려는 기업체도 늘고 있다. 화학회사인 ICI가 스펜스 박사의 연구를 지원하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촉각정보 재생 연구 시작최근에는 촉각정보를 전송하고 재생하려는 연구도 활발하다. 감각정보 ... ...
바람난 제주 돌담 태풍을 막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주지 않게 된다. 설사 무너진다고 하여도 그 부분만을 쉽게 보수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
측면
에서도 편리하다. 이런 점에서 돌만으로 짜여진 제주의 돌담은 일종의 공동체 의식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척박한 환경 속에서 개인의 힘은 너무나 미약하다. 돌담에는 작은 힘 하나하나를 모아 ... ...
뇌 영상의 마법사 MRI 고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가장 중요한 측정기술로 발달됐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민감도와 분해라는 두가지
측면
이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런 연구에 집중을 한 인물이 바로 스위스의 화학자 리하르트 에른스트다. 그는 고선명 핵자기공명 분광학의 방법을 개발한 공로로 199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NMR 분광학은 ... ...
초고층 아파트를 지탱하는 과학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이런 경향은 건축
측면
에서 훨씬 복잡하고 어렵지만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
에서는 그만큼 발전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짧은 기간으로 인해 아직 거주성에 대한 실증적인 검토가 심도 있게 이뤄지지 않았다. 거주성은 미세한 진동이나 소음, 생활환경에 대한 문제로 이미 완공된 ... ...
정보통신에 뿌리내리는 한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입력시킬 때 가장 적합한 글자로 평가된다. 음소문자라는 영어조차도 음성인식
측면
에서는 아주 원시적이다. 예를 들어 ‘A’라는 글자는 발음이 [ei] [ ] [ε] [Λ] [a] [a] [ ρ ] 이어서 글자 옆에 발음 기호를 표기한다. ‘knife’라는 단어는 [naif]라고 읽지만, [naif]라는 발음을 원래의 단어 knife로 복원하는 . ...
목숨 걸고 경고음 내는 땅다람쥐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놈이 되지 않겠습니까. 생명의 진화에서 배신의 유혹만큼 달콤한 것은 없습니다. 이런
측면
에서 협동의 진화는 분명 수수께끼입니다.사회자: ‘이기적 유전자’는 바로 이런 수수께끼를 풀어보자고 쓰여진 책 아닙니까?도킨스(D팀): 그렇습니다. 저는 집단선택론에 대한 윌리엄즈의 비판을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