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d라이브러리
"
천문학
"(으)로 총 1,63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한국의 '지구사냥꾼' 나선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열렬한 기립박수를 보냈다. 국제적인 중력렌즈연구의 변방에만 있는 줄 알았던 우리나라
천문학
위상이 인정받는 순간이었다.작은 행성 찾는 훌륭한 길잡이미시중력렌즈 현상은 비교적 작은 외계행성을 찾는데 훌륭한 길잡이 역할을 한다. 중력렌즈현상이 일어날 때 렌즈 역할을 하는 천체(렌즈별) ... ...
제15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최후에 폭발하며 우주공간에 극적으로 남긴 흔적이다.심사위원장인 강용희 경북대 교수(
천문학
)는 “대상작은 빨강(R)·초록(G)·파랑(B) 필터 외에 특수필터(Hα 필터)를 사용해 세부를 잘 포착했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에서는 일반부문에 50점, 청소년부문에 26점이 ... ...
혼천시계, 지상에 구현한 하늘 모습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체를 365¼도로새겼다. 따라서360°눈금이 새겨져 있다면 서양
천문학
에 기초한 관측 기구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국보230호 혼천시계의 혼천의 부분에 360°눈금이 새겨져 있다는 사실이다.시헌력을 사용하던 시기였으니까 당연한 게 아닐까. 그러나 공교롭게도 혼천시계가 ... ...
30초만에 30층 오르게 도와주는 로프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변화를 말한다 따라서 위상이 같은 곳에서는 상태(시각·장소)가 같게 된다 반면
천문학
에서 사용되는 위상이란, 태양광을 반사하여 빛나는 행성이나 달의 빛나는 면이 어느 정도 지구를 향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말이다 이런 의미에서 행성과 지구를 연결한 직선이 태양과 행성을 연결한 직선과 ... ...
PART1 미국과 유럽, 행성탐색전쟁 선포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여정의 끝엔 아마도 ‘제2의 지구’가 있을 것이다.코로나그래프(coronagraph)1930년 프랑스
천문학
자 베르나르 리오가 태양을 관측하기 위해 발명한 특수 망원경. 태양의 밝은 부분을 망원경 안에서 가리면 상대적으로 어두운 코로나와 홍염을 관측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이같은 원리로 밝은 별을 가려 ... ...
자기폭풍 밝혀낼 다섯 쌍둥이 위성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중심을 우주 중심으로서 부동(不動)으로 보았다 5세기 후반기에 활약한 인도의 수학자,
천문학
자 그의 저서《Aryabhatiya》에서 후세의 L 오일러와 같은 방법으로 부정방정식 ax±by=c의 정수해를 구함으로써 그리스의 디오판토스를 앞섰고, 또 현 대신 현재 사용하는 사인을 쓴 일 및 평면삼각법의 ... ...
아우별이 형별보다 밝은 이유는?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없었던 당시
천문학
자들은 별의 연주시차를 측정하는 일에 몰두했다.허셜은 당시 다른
천문학
자들과 마찬가지로 모든 별의 실제 밝기는 똑같으며 지구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느냐에 따라 별의 겉보기 밝기가 달라진다고 생각했다. 밝은 별은 가까이 있고 어두운 별은 멀리 있다고 말이다. 밝은 별과 ... ...
우리나라의 전파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의 한국천문연구원 본원 옆 언덕에 있는 대덕전파천문대. 이 곳에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지름 14m 전파망원경이 있습니다 ... 2008년에 완공할 예정입니다. 세 망원경은 한국우주전파관측망을 형성하여 우리나라 전파
천문학
을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입니다 ... ...
적을 무력화시키는 뜨거운 광선총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에를랑겐 대학에서 법률을 공부하고 괴팅겐·쾨니히스베르크 대학에서는
천문학
을 배웠다 괴팅겐 대학에서 K F 가우스, W E 베버와 알게 되어 그들의 발명인 자침 전신기를 개량했다1832년 뮌헨 대학 교수에 취임했으며 49년에는 오스트리아 정부의 초청을 받아 통신망을 완성했다 55년 뮌헨에 광학기계 ... ...
로그로 표현하는 리히터규모와 데시벨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감사의 편지를 쓰기도 했다.18세기 프랑스의 수학자 라플라스는 “로그의 발명은
천문학
자들이 계산하는 수고를 덜어줘 그들의 수명을 두 배로 늘렸다”고 말할 정도였으니 로그가 계산을 얼마나 쉽게 만들었는지 짐작할 수 있다.로그는 수학의 역사에서 갈채를 받았다. 그 이유는 뭘까? 로그는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