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d라이브러리
"
천문학
"(으)로 총 1,635건 검색되었습니다.
북두칠성 미자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미자르A와 미자르B가 또 각각 이중성이라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1889년 미국의
천문학
자 에드워드 피커링은 미자르A를 분광기로 관측하다가 스펙트럼선이 주기적으로 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미자르A도 이중성이라는 사실을 의미했다.두 별은 너무 가까워 망원경으로는 분리해 볼 수 ... ...
피스토리우스의 올림픽 출전을 둘러싼 논란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생각은 과학적으로 실증되지 않았으며 다분히 마술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프랑스의
천문학
자 C 메시에가 만든 성단 · 성운의 목록 메시에는 1700년대 후반에 13개의 혜성을 발견했는데, 그때 혜성과 비슷해 잘 분간할 수 없는 천체(성운 · 성단)를 109개 모아 84년에 출판했다이 목록에 수집된 성운 · ... ...
로스웰 사건의 실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날에 발생하는 스모그 대기오염의 하나로 1940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확인되었다 미국의
천문학
자 P 로웰이 1894년에 건설한 천문대 107cm 반사망원경, 61cm · 46cm의 굴절망원경 및 61cm 슈미트카메라 등의 광학관측기기들이 장치되어 있다 생물의 증식과정이나 경제의 발전과정을 근사적으로 설명하는 데 ... ...
우주기네스북 한판 대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때 발생하는데, SN2006gy는 그 규모로 봤을 때 태양보다 약 150배 무거운 것으로 추정됐다.
천문학
자들은 우리은하에 있는 ‘용골자리 에타별’(Eta Carinae)이 폭발하면 SN2006gy와 비슷한 규모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한다. 용골자리 에타별은 지구에서 7500광년 떨어져 있어 폭발을 일으킨다면 낮에도 보이고 ... ...
견우성은 독수리자리에 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번역한다. 그런데 ‘두우지간’은 ‘북두성과 견우성 사이’라고 번역해버리면
천문학
적으로 아무런 의미가 없다. 북두칠성은 북극성 근처에 있고 견우성은 적도 근처에 있으므로 ‘북두성과 견우성 사이’라면 하늘에서 각도로는 약 90° 범위의 넓은 지역이라 달이 배회하는 곳이라는 의미가 전혀 ... ...
너무도 흔한‘빅뱅’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정설은 태초 우주가 대폭발로 시작되었다는 것입니다.
천문학
자들은 이것을 가리켜‘빅뱅(Big Bang)’이라고 합니다. 즉 빅뱅이라는 말은 정말 어마어마한 폭발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요즘 사람들이 빅뱅이라는 말을 너무 함부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전문용어를 자주 쓰는 것도 꼭 ... ...
전기도 무선으로 전송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밖에 소립자 관계로는 유카와(페르미), 원자단위에서는 수소 원자의 제1보 어궤도반지름,
천문학
에서는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X선 · 결정학에서는 X단위, 항해 · 항공계에서는 실용단위인 해리도 사용한다효소반응 저지 양식의 하나 경쟁적 저지라고도 한다효소는 기질과 작용할 때 우선 ... ...
토네이도 대해부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천구상에 투영된 각 천체의 위치 · 운동 · 크기 등을 연구하는
천문학
의 한 분과 실제의
천문학
· 천체역학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천구상에서 태양 · 달 · 행성 · 항성 등 천체의 겉보기 위치나 운동 · 크기 · 표면에 나타나는 모양을 조사하여 전체의 크기, 그 곳까지의 거리 및 공간의 운동 등을 ... ...
떠다니는 탄소를 거래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때의 출발점 이 점에서는 적어도
천문학
적 경도 · 위도 및 이 점에서 다른 점으로의
천문학
적 방위각(方位角)이 결정되어 있어야 한다자성재료 중 투자율(透磁率)이 크고 보자력(保磁力)도 큰 것 영구자석 · 자기테이프 등에 이용되고 있다 페라이트는 대표적인 경자성재료이다 염화비닐수지를 ... ...
반짝이는 별 한 번 사볼까?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아니다.현재 어떤 별에 자신의 이름을 붙일 수 있는 방법은 그 별을 연구하는 유명한
천문학
자가 되는 일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 이마저도 대단히 드문 일이다.별이 아닌 다른 천체에 대해서는 자신의 이름을 붙이는 방법이 몇 가지가 있다. 대표적인 예가 혜성을 발견하는 방법이다. 혜성은 보통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