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원"(으)로 총 3,3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파격적인 입학전형이 DGIST의 경쟁력”과학동아 l2018년 04호
- 2014년 국내 최초로 무학과 단일학부 체제로 개교한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는 입학전형에도 파격적인 형식을 도입하고 있다. 정해진 질문이나 형식 없이 ... 전문가이면서 동시에 다른 전공과 소통이 가능한 융합인재가 되고 싶은 학생들이 DGIST에 많이 지원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되는 학문인 만큼 매우 중요하다. 서울대 공대 입시에서 수학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지원자 대부분이 수학 공부는 열심히 하지만, 물리의 경우 상대적으로 소홀히 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전공 공부에서 기초가 되는 학문이어서 물리의 기초를 탄탄히 쌓는 게 중요하다. 이병호 학부장은 “바른 ... ...
- 교내 대회의 의미와 중요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그 전공의 궁극적 목표인 진로와 연관 있는 폭넓은 사고를 해야 한다. 단순히 본인의 지원 전공에서 요구하는 역량뿐만 아니라, 본인의 진로희망에서 요구하는 역량과 본인이 부족한 부분까지 고민해 보는 거시적인 안목이 필요하다. 그리고 본인의 진로희망과 본인의 활동을 자기소개서 등을 통해 ... ...
- [특별 인터뷰] 한국인이 탐사 대장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계량경제학’을 연구하고 있는데, 일종의 통계 모델을 개발하는 분야예요. 맨 처음 지원서를 쓸 때 HI-SEAS 프로젝트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통계 모델을 개발하겠다고 제안했답니다. 지금까지 다섯 번의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하나가 끝나면 그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임무를 더하거나 빼는 등 ... ...
- [Issue] 중국이 옮길 혁신이라는 산(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통해 육체 노동에서 해방되며, 심(深)우주와 심해저로 확대된 삶의 영역에서 청정에너지원으로 청결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것이 ‘과기혁신 2030’이라는 창을 통해 예측할 수 있는 중국의 미래다. 정홍식_hongsikjeong@tsinghua.edu.cn연세대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 ...
- 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많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사춘기의 연구 주제가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연구비를 지원받기가 어려운 것도 사실”이라고 밝혔다. 사춘기를 정의하려는 첫 시도는 1904년에 있었다. 미국의 심리학자인 스탠리 홀이 14~24세 청소년을 사춘기라고 주장했다. 이는 2차 성징으로 대표되는 사춘기의 ... ...
- [인터뷰] DGIST 총장장학생 진종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4년 내내 등록금을 면제 받을 수 있으며, 여름학기에 해외대학 연수 교육비도 지원받을 수 있다는 설명도 들었어요. 이런 부분들 모두 매력적이었지만, 제가 DGIST 진학을 결정하게 만든 건 학부전담교수제였답니다.” 진 씨는 많은 대학교 중 DGIST를 선택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진 씨는 고등학교 ... ...
- 인권을 지키려는 인류의 노력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의사회’ 등 수많은 비정부기구(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 단체들이 빈곤 아동 지원, 난민 구호, 분쟁 지역의 구조 활동 등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아직도 세계는 역사와 문화의 차이, 민족과 인종의 차이, 이념과 경제적 격차 등에 의한 갈등이 해결되지 않고 있을 뿐만 ... ...
- [영재교육원 탐방] 우리 영재는 우리 동네에서!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배운다. 코딩은 물론이고 역사와 철학, 미술 수업도 있다. 김 원장은 “마을 사람의 지원으로 영재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어른이 된 뒤 사회에 보답을 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역사와 철학, 미술을 가르치데만 그치지 않고 수학이나 과학과 융합하는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볼 계획도 있다. 김 ...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밝혔다. 김승조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명예교수는 “우주산업의 발전에 있어서 정부의 지원 규모보다 중요한 것은 산업계가 우주개발에 관심을 가질 만한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라며 “초기 단계부터 민간 이전을 고려해 개발을 진행해야 향후 민간 참여를 독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