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기
실례
견본
예제
사례
예시
용례
d라이브러리
"
예
"(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체르노빌 10년, 고통받는아이들 신종에이즈 발병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전적으로 체르노빌 때문이다." 사후 수습이 미진한 탓에 피해는 더 커지고 있다. 한
예
로 키에프시의 바뚜찐 지역에는 2만여명의 복구작업참가자들과 피해자들이 살고 있으며 이중 5천명이 어린이다. 이들 모두에게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지만 현대적 의료시설이 없고 약품가격은 급격한 ... ...
미적분 누가 발견했나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소상히 밝혔고, 뉴턴도 라이프니츠의 발견이 자기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인정했다.
예
를 들어 뉴턴은 '프린키피아' 초판에서 "라이프니츠의 방법은 말과 기호만 다를 뿐 나의 발견과 거의 같다" 고 밝혔다. 그후 10년 동안 영국을 제외한 유럽의 모든 국가에서 라이프니츠의 방법이 보급됐고, 그 ... ...
1.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난다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1985년 멕시코지진의 피해를 보더라도 수백동의 건물이 붕괴됐지만 철골건물이 붕괴된
예
는 단 한 곳 뿐이었다. 1994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북부 노트리지에서 발생한 지진이나 일본의 고베 지진에서도 일단 철골건물의 피해는 적었다.그러나 부분적으로는 철골이 상당히 파손됐으며, 대부분의 철골 ... ...
3. 풀어 쓴 디지털사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2진법은 동양의 태극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것이다. 1701년에 강희제의 측근이었던 프랑스
예
수회 선교사 부베(Bouvet, 白晋)로부터 받은 편지에서 우연히 두 장의 태극도를 입수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 태극도의 64괘 배열이 바로 0에서 63에 이르는 2진법 수학이라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태극을 ... ...
서양인이 본 동양의 생약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안전성 품질 효능을 보장할 수 있는 특별인허가 계획을 설립해야 하고, 심각한 질병을
예
방하거나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고 주장하는 제품들에 대해서는 기존의 약품 기준에 합격해야 한다는 것이다.스메박사는 이렇게 말한다. "식물약제의 인가 내지는 허가가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닙니다. ... ...
1. 힘과 운동-그래프 해석 중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처음 질량과 가속도의 그래프를 보면 어떻게 변화시켜야 할지 대강 짐작해 볼수 있다.
예
를 들어 행성 공전주기의 제곱은 거리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표2)와 같은 측정 자료가 있어도 (그림5)와 같이 단순히 거리에 대한 주기의 그래프로 나타내면 그 관계를 잘 알 수 없다. 그러나 (그림6)과 같이 ... ...
2. 우리가 만들어야 할 홈웨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컬러로 인쇄해주는 잉크젯 프린터 등이 없었다면 정말 삭막했을 것이다.최근에는 아
예
사진이나 비디오를 찍어서 바로 컴퓨터로 넣어주는 디지털 사진기와 디지털 비디오카메라가 등장해 컴퓨터 매니아들을 흥분시키고 있다. 디지털 비디오카메라를 이용하면 진정한 멀티미디어 가족 비디오를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일이 있다. 자기 몸무게의 4-5배에 가까운 짐을 나르는 동료를 도와주지는 못할 망정 아
예
짐 위에 올라탄 작은 일개미를 종종 볼 수 있다. 파리 쫓는 일개미시골에서 감자를 캐는 날 삼촌이 끄는 리어카를 뒤에서 밀다 가끔씩 슬쩍 올라타던 필자의 어린 시절처럼 얌체짓을 하는 것일까. 오랜 관찰을 ... ...
1년 교과서 교육보다 하루 현장실습이 효과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조삼래하지만 인공생태계가 전체 종 보존을 위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어 아쉽습니다.
예
를 들어 개발되기 전 천수만 지역은 갯벌이어서 지금은 사라진 도요새가 많았거든요. 인공생태계는 특수한 종을 보호하기 위한것입니다.이상근결국 자연은 그대로 두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고 느꼈씁니다. ... ...
잇따른 외계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망원경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NASA는 이를 위해 21세기 초에 간단한 모델을 선보일
예
정이다. 그것은 지름 30-60cm인 망원경으로 구성되며, 가까운 거리에 있는 해왕성 크기의 행성을 찍을 수 있다. 또 NASA는 2010년경 '행성탐색기'(planet finder)를 띄울 계획이다. 이것은 5개의 1-2m급 망원경으로 ... ...
이전
749
750
751
752
753
754
755
756
7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