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뉴스
"
건
"(으)로 총 7,986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안함 10배 무게… 인양 두달 걸릴듯
동아일보
l
2014.04.18
개그우먼들, 점점 과감해지는 시상식 패션 [관련 뉴스] - “하늘도 야속하지”… 목숨
건
잠수중 비바람-파도 거세져 - 3명 시신 고대안산병원 안치 - [단독]여덟살 요셉이 “형은 왜 안와요?” - “몸부림치던 친구 모습 자꾸 생각나” 구조된 학생들도 트라우마 시달려 - [단독]“한살 위 오빠가 ... ...
성인 체세포복제배아줄기세포 성공, 그 의미는?
과학동아
l
2014.04.18
부소장은 “성인의 체세포로 복제 배아줄기세포를 만들 수 있다는 걸 입증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연구진은 여성 4명에게서 난자 77개를 기증받아 핵을 제거한 뒤 기증 받은 남성의 피부세포(체세포)와 결합해 5개의 포배기 배아를 만들었다. 포배기 배아란 수정란의 속이 텅 비고 그 ... ...
줄기세포계는 춘추전국시대
과학동아
l
2014.04.18
하지만 미국에서는 iPS세포 상용화에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지난달 미국국립보
건
원(NIH)은 iPS세포를 안과 질환 치료에 활용하는 연구만 지원하기로 하면서 iPS세포를 이용한 치료제 개발과 임상시험에 대한 지원을 대폭 축소하는 결정을 내렸다. 2012년 버락 오바마 정부가 iPS세포 연구를 ... ...
황우석 박사 실패한 인간배아줄기세포 확립 성공
과학동아
l
2014.04.18
환자를 치료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이 부소장은 “이번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는 여
건
만 갖춰진다면 2년 안에 임상 시험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학문적인 성과로는 환영할 일이라고 반기면서도 난자를 활용한 연구라는 점에서 윤리적인 문제가 남아 있다고 지적한다. 임상 ... ...
시각장애 학생이 고구려 국경 볼 수 있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4.04.16
전성기였는지 가르친 적은 있지만, 세기별 국경선 변화 과정을 직접 만져볼 수 있게 한
건
처음입니다.” 16일 서울맹학교 5학년 1반에서 열린 시각장애인용 촉각자료 시연회를 진행한 김희진 교사는 감격에 겨운 목소리로 이같이 말했다. 이날 시각장애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처음으로 지도를 ... ...
[과학의 달 기획]사이언스 마이크: 당신에게 과학이란? ②
과학동아
l
2014.04.16
때가 많다”며 “어쩔 수 없는 절차라고 해도 연구할 시간을 빼앗기는 것 같아 속상한
건
사실”이라고 털어놨다. 승 씨 역시 “실험이 아닌 잡무를 처리하기 위해 주말에 출근하거나 밤을 새면 뭔가 억울한 기분이 든다”고 말했다. 정권에 따라 수시로 바뀌는 정책도 이들을 불안하게 ... ...
[채널A] 무인기 딸기 배달은 위법? 비행 규정 들쭉날쭉
채널A
l
2014.04.16
높이 떠 검은 점처럼 보이는 무인기가 잔디밭에 내려앉습니다. 무인기가 내려놓는
건
딸기. [인터뷰 : 노재린/카이스트 기계공학과 4학년] 이렇게 드론을 이용해서 먹으니까 재밌고, 친구들이랑 모여서 좋은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무인기는 촬영과 배달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 ...
[채널A] 스마트폰 정보 유출 원천 봉쇄…‘킬 스위치’ 의무화
채널A
l
2014.04.15
받았습니다. 휴대전화는 고가인 탓에 도난 등을 포함한 분실사고가 지난해에만 123만
건
에 달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킬 스위치' 기능. 스마트폰을 원격에서 잠그고 데이터를 지울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기존의 유사한 기능은 앱 형태로 존재해 휴대전화를 초기화 시키면 ... ...
작년에 수입된 GMO 옥수수는 얼마나 되나
과학동아
l
2014.04.14
지난해 시험·연구 목적으로 수입 신고된 GMO는 급증했다. 총 1249
건
으로 2012년 234
건
보다 433%나 늘어난 것이다. 센터 측은 LMO법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으로 연구자들의 이해가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세계적으로는 지난해 유전자변형작물 재배 면적이 2012년보다 약 3% 늘었다. 한반도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4.14
되기에는 너무 닮지 않았다”며 “이들을 인간 진화로 이어지는 계보에 위치시키는
건
너무 단순한 선형 모형”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손을 쓰는 사람’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도 호모도 아닌 별도의 속을 부여해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우드는 2012년 호모 루돌펜시스 화석 추가 발견 보고 ... ...
이전
747
748
749
750
751
752
753
754
7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