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뉴스
"
건
"(으)로 총 7,986건 검색되었습니다.
진딧물과 박테리아의 불편한 동거
과학동아
l
2014.06.04
식물의 방어기작을 발동시키는 원인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그런데 이 단백질을 만든
건
진딧물이 아니었다. 진딧물 체내에 기생하는 박테리아의 일종인 부크네라(Buchnera)가 만든 단백질이었던 것. 즉 진딧물에 얹혀 사는 박테리아가 집주인(진딧물)이 포식 중이라는 사실을 식물에게 일러바치는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암흑물질만을 생각하는 기존 이론이 예측하는 것보다 우주 은하 무리의 밀도가 떨어지는
건
뜨거운 암흑물질인 불임 뉴트리노가 섞여 있어 천체가 형성되는 속도가 늦어졌기 때문이라는 것. 한편 ‘피지컬 리뷰 레터스’ 4월 25일자에는 불임 뉴트리노가 암흑물질일거라는 또 다른 연구결과가 ... ...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는…
과학동아
l
2014.05.30
말했다. 현재 톰슨로이터의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된 논문은 약 4000만
건
. 펜들버리 컨설턴트는 “이 가운데 피인용 횟수 1000회를 넘긴 논문은 1만2000
건
정도에 불과하다”면서 노벨상 수상의 문턱을 넘기가 어려움을 강조했다. 한편 그는 최근 톰슨로이터가 2002~2012년 논문 피인용 횟수가 ... ...
“과학이 사회와 호흡하도록 과학계 문화를 바꿔야죠”
과학동아
l
2014.05.30
잘한다는
건
문제를 잘 푸는 것으로 한정할 수 없습니다. 생각의 깊이를 더해가는 과정에서 과학자 스스로가 성장하고 자신이 찾은 해법으로 사회에 공헌하는 것입니다.” 호암재단 제공 28일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월드에서 남홍길 기초과학연구원(IBS) 식물노화수명연구단장(57·사진)을 ... ...
‘돌이킬 수 없는 남극 해빙’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14.05.30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당장 온실가스 배출을 중단해도 빙하가 사라지는
건
막을 수 없을 정도로 지구온난화가 진행됐다는 말이다. NASA는 “남극 서쪽 바다를 타고 올라가는 따뜻한 해류가 빙하 하부를 녹여 붕괴를 촉진시키고 있다”면서 “200년 안에 아문센 해의 빙하가 모두 ... ...
고양이+소=인간 변종 로타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14.05.27
고양이와 소에게서 유래된 사례는 있었지만 이처럼 11개 모두가 동물에게서 유래한
건
처음 있는 일이라고 밝혔다. 또 환자가 이 동물들과 접촉하지도 않았다. 김 교수는 “로타바이러스의 종간 전파 가능성에 대한 증거일 수 있다”며 “로타바이러스 백신 개발 연구에도 큰 도움이 될 ... ...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이유도 습관회로가 그만큼 더 견고하게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충격적인 사
건
이나 굳은 결심으로 한동안 습관을 끊더라도 약간의 계기(cue)만 있으면 슬그머니 원래 습관으로 돌아가기 마련이다. 따라서 안 좋은 행동은 습관화가 되지 않도록 애초에 끊어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일단 ... ...
7500개 암 유전자 한번에 촤르륵 검색
과학동아
l
2014.05.23
NIH)이 관리하는 생물학 의학 연구문헌 데이터베이스 ‘메드라인’에 저장된 300만
건
이상의 암 연구문헌을 뒤진다. 유전자 수로는 7500개 이상이며, 암 종류는 1700종이 넘는다. 박 교수는 “암 유전자 정보를 손쉽게 찾을 수 있는 새로운 연구 도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 ...
존재의 이유, Y염색체의 경우
2014.05.20
수 있는 현상을 발견했다. 즉 X염색체불활성화가 X염색체상의 모든 유전자에 작용하는
건
아니라는 사실이다. 즉 사람의 경우 X염색체 유전자의 15~25%는 불활성화된 염색체에서도 발현된다는 것이다. ●2500만 년 전부터 퇴화 멈춰 이번에 ‘네이처’에 실린 논문을 보면 Y염색체에 존재하는 3 ... ...
"진주운석이 소중한
건
우주 궤도를 알 수 있기 때문"
과학동아
l
2014.05.19
"그런 일은 항상 있어 왔고 앞으로도 그럴 겁니다. 대표적인 게 공룡이 멸망했던 사
건
이지요. 그러나 우리에겐 천문학자가 있습니다. 만약 어마어마하게 큰 소행성이 지구에 접근한다면 소행성 궤도를 바꾸는 임무가 가동될 겁니다. 이미 관련 기술이 개발되고 있어요." 토론 전문은 다음 ... ...
이전
744
745
746
747
748
749
750
751
7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