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추가"(으)로 총 2,6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K2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외계행성 탐사 임무도 19차례나 추가로 진행했다. 최근까지도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외계행성 탐사를 진행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구에 보낸 데이터는 8월 말부터 10월 19일까지 물병자리에 있는 별 3만여 개와 은하를 관측한 자료였다. 이를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로봇그룹 수석연구원은 “어느 정도 기본적인 학습을 마친 뒤에 사용자와 생활하면서 추가적으로 학습해 개인 맞춤형 AI가 되는 ‘점진적 학습(incremental learning)’ 기술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너의 목소리가 들려나를 위해 맞춤 데이터를 가진 AI가 개발된다고 해도 대화가 되지 않으면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뒤로 젖힌 채 팔을 들고 일해야 하는 작업자의 힘을 보조해주는 시스템이다. 최대 60kg를 추가로 들 수 있어 목과 어깨, 등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돕는다. ● “내 팔과 다리 속에 총 66개의 전도체가 심어져 있어요” #Scene 3 이수연의 웨어러블 장치는 한여름을 만나면서 오작동이 발생해 팔에 ... ...
- part 3. 야구 보며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전통적인 외판원 문제에 ‘각 도시에서 외판원이 머물 수 있는 정해진 시간’을 요소로 추가한 것이 있지요. 랍 프래트 SAS(미국 소프트웨어 회사) 연구원은 여행하는 야구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통적인 외판원 문제에 ‘사건이 일어나는 시간’이 포함된 알고리듬을 이용했습니다. 각 ...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위성이 발사체와 기계적, 전기적으로 잘 결합됐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발사장에서 추가 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리안 5ECA가 천리안 2A호를 지구 저궤도에 무사히 올려놓으면 천리안 2A호는 약 20일에 걸쳐 날아가 상공 3만6000km 정지궤도에 안착하게 된다. 그리고 6개월 간 시험운영을 ... ...
- [TECH]大화면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스마트폰이 진화하면서 최신 기능인 방수·방진, 무선 충전, 전자결제 시스템 등도 추가됐다. ‘스마트폰 크기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은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의 베젤(bezel)을 줄였다. 베젤이란 디스플레이를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 실제로 ...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과학동아 l2018년 11호
- doi:10.1046/j.1420-9101.2002.00410.x 연구팀은 물에 뛰어든 곤충 가운데 귀뚜라미를 이용해 추가 실험을 진행했다. Y자 형태의 미로를 만든 뒤 한쪽에는 물그릇을 놔둬 습한 환경을, 반대쪽에는 건조한 환경을 조성했다. 이후 미로 내에서 귀뚜라미가 어떻게 행동하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연가시에 감염된 ...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연구자들이 예상하는 방법과 다르 다”며, “명확한 검증을 위해서는 더 자세한 증명 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아티야 교수님, 좀 더 자세한 증명 부탁드려요! 팩트체크2. '리만 가설'은 소수 찾는 공식이다? ‘리만 가설’이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인지는 몰라도 ‘소수와 관련 있다’는 건 ... ...
- [통합과학 교과서] 수호의 의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현재 모두 20군데로 늘어났답니다.(5월 21일 기준) 지난 17일 새벽 킬라우에아 화산은 추가 폭발을 일으켰어요. 엄청난 양의 화산재를 분출해 무려 9100m에 달하는 거대한 가스 기둥을 만들었지요. 화산재는 반경 수km까지 퍼져 비처럼 쏟아졌답니다. 다행히 주민과 관광객이 모두 대피한 상태고, 폭발이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높여 해빙이 녹는 현상을 가속화시킵니다. 우리 연구팀은 결국 해빙이 감소하면서 추가적인 해빙-알베도 피드백 효과가 나타나 북극 온난화를 증폭시키는 원인인 ‘북극해 해양 생지역학(biogeophysical) 피드백 효과’를 제시했습니다.doi:10.1073/pnas.1416884112흥미롭게도 이산화탄소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