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d라이브러리
"
지적
"(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물기가 많지 않았다.하지만 이런 이유 말고도 농촌에서 물 자체가 귀해졌기 때문이라는
지적
도 있다. 이도원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저서 ‘흐르는 강물따라’에서 “땅속으로 스며드는 물이 아까워 시골 도랑에는 차츰 콘크리트가 놓이고 있다”며 “이런 변화는 여름에 더 많은 물을 논에 ...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논문 쓰는 것보다 더 중요합니다.일부에서는 서울대 공대생의 자퇴 비율이 높다고
지적
합니다. 이 문제는 학교와 사회가 함께 풀어야 합니다. 자퇴생의 대부분은 법학이나 의학을 전공하려고 합니다. 그쪽이 지금은 직업의 안정성도 좋고 소득도 높지요. 하지만 이공계 학생들에게 다양한 기회와 ... ...
학교생활기록부를 100배 더 알차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이 받을 수 있는 종합의견의 예 ‘책임감이 강하고 빈틈이 없으며
지적
탐구심이 강해 모든 교과 성적이 우수하며, 학교에서 정한 규칙을 잘 준수함. 넓은 포용력을 갖고 친구를 대하는 모범적인 학생이지만 남들과 자신을 비교하는 마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힘들어 하는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중에는 내용보다 과정에 대한 오류를
지적
합니다. 활동 중에 연구 내용에 대한 오류를
지적
하면 학생은 창의성을 잃고, 스스로 생각하기보다 지도 교사에게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활동을 할 때는 과감하게, 학생의 연구활동에 대한 긍정적 신호를 주고 활동을 하도록 합니다. 그 뒤에 학생이 ... ...
법도 좋아 ! 만화는 더 좋아! 이영욱 변호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1호
권리를 찾아 주는 거죠. 사법연수원과 대학원에서
지적
재산권을 전공했어요. 블로그에
지적
재산권과 관련된 판례도 정리해 올리고 있답니다. 만화가분들께 도움이 됐으면 해요준비된 만화가!언제 처음 만화를 시작하셨나요?어렸을 때부터 그림 그리는 걸 좋아했어요. 만화나 동화책을 보다 마음에 ...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3호
뇌 기능, 특히 주의력과 집중력에 필요한 필수미량영양소가 충분치 않다는 점을
지적
했어요. 또한 ADHD와연관이 있는 색소와 첨가제가 많이 들어 있는 식품이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답니다.미래의 요리는 우리가 주인공!내가 지금 먹고 있는 요리가 미래 내 자손들의 유전자를 바꿀 수도 있다는 ... ...
강정수·이연희 교수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여성 비율은 20% 정도인데 책임연 구급이 되면 여성의 비율은 1~2%로 낮아진다”고
지적
했다. 의사결정을 할 수있는 직급에서 여성 비율이 높아야 젊은 여성 연구원들이 비전을 갖게 된다는 말이다.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여성 과학기술인을 발굴하기 위해 2001년 제정된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은 ... ...
구제적인 목표가 열정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보는 것이 좋다. 특히 다큐멘터리는 쉽게 볼 수 있으면서 사실에 바탕하고 있기 때문에
지적
욕구도 충족시킬 수 있다. 이런 간접경험이 쌓이면 교과 공부에도 도움이 된다. “책이나 다큐멘터리에서 얻은 상식이 앞으로 공부에도 도움이 돼. 여러 분야의 책을 읽으면 지식이 여러 분야에 흩어져 ... ...
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있다면 우리가 보는 우주의 크기는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아야 한다고
지적
한 바 있다.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주론자들은 암흑에너지라는 새로운 이론을 도입하기도 했다. 하지만 도입했다기보다는 관측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급조한 인상을 지울 수 없다. 결국 ‘실험을 통해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밖의 요인으로 뇌가 손상돼도 치매 발병이 안 되거나 늦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이를 ‘인
지적
비축(cognitive reserve)’이라고 한다. 마치 큰 비에 똑같은 1t의 흙이 쓸려 내려가도 나지막한 산은 산세가 변하지만 태산은 별 영향을 받지 않는 것과 비슷하다.따라서 뇌의 입장에서 어린이가 어른으로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