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d라이브러리
"
지적
"(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공방3월 15일 남양유업이 동서식품의 커피믹스 신제품 광고가 명백한 허위광고라고
지적
하면서 ‘카제인나트륨’을 둘러싼 기업 간 공방이 2라운드에 돌입했다. 동서식품이 “카제인나트륨을 무지방 우유로 대체했다”고 광고를 하면서도 실제로는 카제인나트륨을 사용했다는 것. 동서식품은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부분을 나타냅니다. 인간의 종명, ‘호모 사피엔스’는 ‘알고 있는 인간’ 다시 말해 ‘
지적
인 인간’이라는 뜻입니다.오랜 동안 학자들은 인류의 조상이라면 다른 건 몰라도 두뇌 하나는 컸을 것으로 추측했습니다. 나머지 특징들은 그 뒤에 생겼더라도 말이지요. 20세기 초에 영국 런던 근교에서 ... ...
바다 이구아나, 새 신부를 유혹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책에서 “다윈의 진화론은 오랜 시간에 걸친 치밀한 논리의축적으로 탄생한 것”이라고
지적
한다.다윈의 위대한 점은 갈라파고스를 포함해 5년에 걸친 비글호 항해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하고 끈질기게 질문했다는 점이다. 왜 섬에는 대형 포유동물이 적을까, 위도(환경)가 달라지면 왜 같은 종인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빨리 처리할 수 있다. 학습과 훈련이 다 끝난 상태의 인공 뇌를 복제할 수 있다면 뛰어난
지적
능력을 지닌 존재를 짧은 시간 안에 무수히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소리다. 그런 수준에 이른다면 사람은 인공 뇌를 어떻게 활용할까. 사람의 육체노동을 대신하는 로봇과 다르게 정신노동을 대신하게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과정)의 증거가 전혀 없다며 뇌 분석 자료를 어디서 얻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고도
지적
했다.이에 대해 IBM은 “모다 박사의 연구가 뇌의 인지 능력을 모델로 삼아 오늘날의 슈퍼컴퓨터보다 훨씬 효율적인 컴퓨터를 만들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과학계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냈다”고 ... ...
당당하게 자신을 드러내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눈빛이 달라지는 것을 느꼈다.“그런데 한 분이 제가 말한 책의 내용이 틀린 말이라는
지적
을 했어요. 당황하지 않고 저는 이렇게 이해했는데 뭐가 틀린 건지 물었죠. 그리고 제 책에 틀린 부분을 표시해서 가르쳐 달라고 이야기 했어요. ‘나중에 교수님께 더 잘 배우겠다’고 했더니 교수님이 ... ...
창의적 연구, 즐거운 성취감!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탐구활동이 끝난 후에는 학생들의 실험보고서에 예외없이 선생님의 빨간펜이 날아든다.
지적
받은 내용을 반영해 다시 실험을 하고 보고서를 쓰다 보면 처음에는 2장 남짓이었던 보고서는 어느새 2장을 훌쩍 넘겨 알차고 수준 높은 보고서가 된다. 교내 창의력 산출물 대회를 휩쓸다 아트 사이언스반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있는 다섯 개의 돌연변이가 개별적으로는 자연계에 모두 존재하는 흔한 돌연변이라고
지적
했다. 독립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돌연변이라면 한 곳에서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실험실이 아닌 자연에서도 변종 바이러스가 언제든 탄생해 인간을 위협할 수 있다는 뜻이다.RNA 바이러스인 인플루엔자 ... ...
포스텍에 대한 열망을 보여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곧 마음을 다잡고 차근차근 풀었다. 교수님에 따라서는 틀리게 풀면 그 자리에서 바로
지적
을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생물은 면제 받았다.포스텍에서의 사계절다솔 양은 고등학교에서 화학Ⅰ, 생물Ⅰ, 지구과학Ⅰ 그리고 생물Ⅱ만 배웠다. 그래서 입학 후 수업을 들을 때 고생을 좀 했다.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물기가 많지 않았다.하지만 이런 이유 말고도 농촌에서 물 자체가 귀해졌기 때문이라는
지적
도 있다. 이도원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저서 ‘흐르는 강물따라’에서 “땅속으로 스며드는 물이 아까워 시골 도랑에는 차츰 콘크리트가 놓이고 있다”며 “이런 변화는 여름에 더 많은 물을 논에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