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지구
, 어쩌다 생명이 탄생하게 됐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거예요. ●조석력 : 달과 가까운
지구
표면은 달의 중력이 상대적으로 크지만, 반대쪽
지구
표면은 달의 중력이 작다. 이로 인해 나타나는 힘의 차이를 조석력이라 한다 ... ...
[과학 뉴스] 울릉도 개구리는 침입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월 24일, 어과동
지구
사랑탐사대 참여 연구원인 중국 난징임업대학교 동물행동생태및보전연구실 배윤혁 연구원이 울릉도에 침입한 개구리에 관한 연구를 발표했어요. 울릉도는 한 번도 육지와 땅이 연결된 적이 없는 화산섬으로 자기만의 생태계를 꾸려왔어요. 원래 울릉도에는 개구리가 살지 ... ...
[통합과학 교과서] 오작교를 대신할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처음으로 가까워져 약 수십 만km 떨어진 거리에 있을 예정이에요. 로드스터와 스타맨이
지구
에게 가까이 올 때까지, ‘스타맨’을 들으며 기다리면 어떨까요? 에필로그 “까마귀 선생님, 이제 오작교를 만든다고 고생하시지 않아도 돼요. 제가 이 자동차를 열심히 개조해서 우주까지 날아오를 수 ... ...
질문하면 답해 ZOOM!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하는 것처럼 행성도 자전하면서 행성 중심에서 멀어지려는 ‘원심력’이 생겨요.
지구
는 원심력이 적도면 쪽에 크게 발생해 지금과 같은 모양이 된 거죠. 목성과 토성 등의 행성도 같은 이유로 적도가 살짝 더 두꺼운 배불뚝이 모양이 되었어요. Q 연필이 종이에 쓰여지는 원리는 뭘까요 ... ...
[
지구
사랑탐사대]
지구
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생태 연구원이 지사탐 대원의 질문에 답해주는 [궁금해요] 코너도 놓치지 마세요.
지구
사랑탐사대 대원들이 만난 생물종들! 지금 확인해 보아요~! 조류김경란 대원 | 제주김가네 팀탐사 생물 참새발견 위치 제주도 제주시 하정주 매니저위쪽 지역보다 비교적 따뜻한 기후의 제주도에 있는 ... ...
[매스미디어] 버즈 라이트이어
수학동아
l
2022년 06호
태양계가 속한 우리 은하의 지름은 약 10만 광년이죠. 라이트이어가 떠나온 행성은
지구
에서 몇 광년 떨어져 있는지 궁금해지지 않나요? 아인슈타인이 밝힌 시간의 지연 긴 비행을 끝내고 버즈는 다시 행성으로 돌아와요. 그런데 어떡하죠? 알고 보니 예상했던 시간보다 행성을 떠난 지 더 많은 ... ...
[폴리매스 미궁1004 미리보기] 도적의 눈을 피하라
수학동아
l
2022년 06호
줄거리 : 기후 변화로
지구
가 사막화되고 문명이 몰락한 미래. 하늘에서 떨어진 알 속에서 발견된 소녀와 소녀를 돕는 티티르는 그들을 구해 준 왕자와 함께 고대 유적을 발굴한다. 왕자의 요청에 따라 유적 곳곳의 암호를 해석하지만, 시큰둥한 왕자의 반응을 보고 티티르는 왕자에게 다른 꿍꿍이가 ... ...
[과학뉴스] 통가 화산 폭발, 우주 날씨까지 바꿨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평소에는 동쪽으로 흐르던 전류 방향도 서쪽으로 바뀌었다. 그간 지자기 폭풍의 원인은
지구
자기장의 변화가 주요했다.브라이언 하딩 UC버클리 연구원은 “지각 변동이 대기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이번 연구를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미지의 세계에서 영감을 얻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우리는 세상의 아름다움에 빠져있고 이를 더 알고 싶어한다. 그 열정을 공유하는 것이
지구
를 보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꼭 탐험가나 사진가가 돼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각자의 분야에서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면 충분하다 ... ...
제주도의 모든 생물을 기록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참여했다. 과학동아와 내셔널지오그래픽은 이 행사를 함께 주최했다. 어린이과학동아
지구
사랑탐사대 대장이자 내셔널지오그래픽 탐험가인 이화여대 장이권 교수가 참가자들을 이끌었다. 과학동아 독자 18명도 이 행사에 함께 참가했다. 생물을 기록하는 방법은 쉽다. 생물 사진을 찍고 소리를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