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마음으로 그리고 사진으로 남기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소니가 후원하고 세계사진협회(WPO)가 주관하는 세계 최대의 사진 대회다. 2023년 수상작 중 상상력이 특히 돋보이는 작품 일부를 소개한다.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특집] 개척자들을 위한 화성 이주 가이드북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더 편안하게Part2.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Part3. Habitat ‘화성 1년 살이’를 계획 중이라면Outro. [Outro] 절벽 틈에서 인류 문명이 새로이 피어나다, 미래 화성 도시 ...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핍은 화성에 한 평 남짓한 땅을 가지고 있었다.핍의 아버지는 태양계에서 가장 높은 산이라는 화성의 올림푸스 산 정상에 올랐다. 아버지가 살 수 있는 땅은 정상 ... 지역은 60cm는 파야 얼음이 나온다). ‘먹고 살기 편한’ 땅을 찾는 건 지구에서나 화성에서나 가장 중요한 일인 셈이다 ...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언어부터 ‘고급(High-Level) 언어’라 칭한다. 사람 중심의 언어가 시작된 것이다. 사람 중심의 언어는 번역기와 함께 시작됐다.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번역기는 ‘컴파일러’라고 부른다. 오늘날 우리가 컴퓨터에 고급 언어를 입력하면 컴파일러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한다 ... ...
- [이그노벨상] 세상에서 가장 오래 진행 중인 실험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퀸즐랜드대 측은 이런 불상사를 방지하기 위해 2020년부터 인터넷으로 실험을 24시간 중계하기 시작했다. 기회가 된다면 당신도 그 실험 영상을 찾아보라. 정지 화면처럼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고 초침만 돌아가는 영상을 보다 보면, 필자처럼 생각하게 될지도 모른다. 피치보다 더 끈끈한 것은 ... ...
- [SF 소설] 그라비토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장편소설 ‘무너진 다리’ ‘천 개의 파랑’ ‘밤에 찾아오는 구원자’ ‘나인’, 중편소설 ‘랑과 나의 사막’ 등이 있다. 한국과학문학상 장편 부문 대상, SF어워드 장편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 ...
- [냠냠! 어수잼] 우리 집이 날아갔어! 다정이의 사라진 정다각집2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정오각형, …등으로 불러요. 우리 집 창문은 정사각형이에요. 여기 떨어진 창문 중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네 각의 크기도 직각으로 모두 같은 사각형이 정사각형이지요. 그럼 어떤 게 우리 집 창문인지 같이 찾아볼까요? ☞오디오로 들어요 ... ...
- [출동, 슈퍼M] 색종이는 왜 정사각형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해요. 이때, 그 직선을 ‘대칭축’이라고 하지요. 정사각형은 사각형 중에서 대칭축이 가장 많은 도형이에요. 정사각형 색종이를 가로로 반 접으면 완전히 겹쳐지고, 세로로 반 접어도 완전히 겹쳐지지요. 대각선으로 접어도 마찬가지예요. 즉, 정사각형의 대칭축은 총 4개인 셈이지요. 마름모와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즐겁고 슬기로운 숏폼 사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되는 팝콘브레인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답니다. 또 숏폼 알고리즘이 추천해주는 영상들 중에는 다소 자극적이고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영상도 많아요. 얼마 전 숏폼에서 유행한 ‘나는 실패작이래’ 영상은 정서적으로 예민한 청소년들에게 매우 유해할 수 있어요. 또한 숏폼이 놀이문화와 ... ...
- 게임 회사에서 언어 AI 연구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6호
- 그런 마음이 들더라도 ‘끝까지 하나의 결론을 내보자, 그냥 하자’는 마음가짐이 중요해요. 팀에서 연구는 어떻게 하나요? 기쁨 연구 주제가 정해지면 서로 겹치지 않게 팀원 각자가 시험해볼 모델을 나눠요. 우리가 원하는 결과가 나오도록 모델마다 매개변수의 확률값을 세밀하게 조정해야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