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d라이브러리
"
중
"(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셀 탐구생활] 천재는 하나의 신화일 뿐이다
수학동아
l
2023년 07호
◆ 역설을 타파할 회심의 해결책 ◆ 1901년 버트런드 러셀은 독일 수학자 게오르그 칸토어의 집합론에서 ‘훗날 *러셀의 역설’이라 ... 돌아갑니다. 앞으로 그곳에서 그는 새로운 학생을 여럿 만나겠지요. 그
중
20세기의 가장
중
요한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도 포함돼 있었습니다. ... ...
함풀문 문제 MVP
수학동아
l
2023년 07호
주세요! 폴리매스 홈페이지 [매스펀] - [함께 풀고 싶은 문제]에 올라온 문제의 풀이
중
출제자가 놀랄만큼 참신한 풀이로 문제를 풀었거나 문제를 더 발전시킨 풀이를 뽑아 소개합니다. MVP에게는 폴리매스 포인트 300점을 드립니다. 여러분도 그 주인공이 되고 싶다면 [함께 풀고 싶은 문제]에 ... ...
[과학뉴스] 전 세계 호수 절반이 말라가는
중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하는 인류의 생활에도
중
요한 영향을 미친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세계 인구의 4명
중
한 명인 20억 명이 수량이 줄어든 호수 유역에 살고 있다”며, “호수 수자원이 체계적으로 관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
팩트체크3. 일본의 오염수 방류 기준이 적절하지 않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전문가 팩트체크❶일본 자료에서 정화처리시설 배출구의 방사성 물질 농도는 삼
중
수소 제외 모두 기준치 이하였다. 계획대로 희석한다면 음용수 기준까지 만족하는 물이다.❷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는 인류에 처음 있는 일이다. 방사성 물질이 인체에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가 없다 ... ...
[뉴스%인터뷰] 독사 어금니 모방한 주사기로 코로나19 백신 맞는 날 올까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공학이 한계를 보일 때 시선을 자연으로 돌려 해결책을 찾아 주는 효과적인 방법론
중
하나인 것이다. 그러니 이 글을 읽는 독자들도 늘 열린 시선으로 호기심 있게 자연을 관찰하길 바란다. 어느 순간, 자연이 여러분에게 공학적 영감을 가져다줄지 모른다. 배원규. 서울대 의공학과에서 자연의 ... ...
[과학사 극장] 세종대왕이 측우기를 만든 게 아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과학 유산을 남길 수 있었다. 이것이 세종의 이름에 ‘대왕’이라는 호칭이 붙는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김슬기. 서울대 과학학과 박사과정 연구원. 동아시아 전통 천문학사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다. friends1133@naver ... ...
[뉴스&인터뷰] IBS 기후물리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독자(부산 안남초 6학년)는 “같은 면적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것과, 나무를 심는 것
중
어느 쪽이 기후변화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냐”고 물었다. 팀머만 단장은 고개를 끄덕이며 일어나 화이트보드를 가져왔다. 그는 태양광 패널과 나무의 에너지 효율을 수식으로 직접 계산했다. “태양광 ... ...
[DGIST@융복합 파트너] 정밀 의료가 보편화된 세상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있다. 기존 기술로 분리된 순환종양세포는 순도가 낮았다. 혈액 속 수백만 개 세포
중
암세포는 한두 개에 불과해 분리가 어려워서다. 순도가 낮으면 암세포의 특징을 정확히 분석할 수 없다. 어떻게 순환종양세포를 순도 높게 분리할 수 있을까. 이찬희 이사(DGIST 20학번)가 프로토타입을 보여주며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즐겁고 슬기로운 숏폼 사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6호
되는 팝콘브레인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답니다. 또 숏폼 알고리즘이 추천해주는 영상들
중
에는 다소 자극적이고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영상도 많아요. 얼마 전 숏폼에서 유행한 ‘나는 실패작이래’ 영상은 정서적으로 예민한 청소년들에게 매우 유해할 수 있어요. 또한 숏폼이 놀이문화와 ... ...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여러 사람의 생각을 보태서 더 멋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를 만들어 왔습니다. 을
중
요하게 여겼던 여러 서구의 지식인이 유클리드 기하학을 더 견고하게 만들었다고 평가할 수 있지요. 다만 19세기 초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등장은 학문에서 가져야 할 시사점을 주는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