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계도"(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창의적인 로봇 공학자가 되는 비결은?데니스 홍 교수님과 의 만남이 이뤄졌다는 소식에 많은 친구들의 관심이 쏟아졌어요. 치열한 경쟁 끝에 로봇 공학자를 꿈꾸는 세 팀의 친구들이 선발됐지요. 로멜라 로봇 전시회를 찾은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데니스 홍 교수님께 평소 궁 ... ...
- [과학뉴스] AI로 마음껏 날아다니는 ‘가상 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가상으로 만든 새를 가상공간에서 스스로 날아다니도록 만들 수 있을까. 국내 연구팀이 가상으로 만든 비행생명체(오른쪽 그래픽)를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제희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AI ‘알파고’에 적용된 딥러닝 기반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아찔하다. 투명한 유리 바닥 아래로 수많은 빌딩의 ‘정수리’가 보이고, 내가 의지할 것이라고는 유리 사이사이에 설치된 철근 뼈대뿐이다. 겁이 없는 편이라고 자신하지만, 상공 500m에서 도시를 내려다 보니 나도 모르는 새 호흡이 빨라진다. 그런데 이때 빨라지는 건 호흡만이 아니다. 당신의 ... ...
- 시계장인은 수학천재? 태엽 시계의 반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2017년 11월, 13억 원짜리 손목시계가 세계 유일 시계경연대회인 ‘제네바 시계 그랑프리’에서 메커니컬 익셉션 상을 수상했다. 특별한 기술을 갖춘 시계에 주는 상이다. 시계 이름은 ‘셀레스티아 애스트로노미컬 그랜드 컴플리케이션 3600(이하 셀레스티아)’. 기다란 이름처럼 기능도 많다. 4.5cm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형질 분석의 기본적인 원리는 이렇다. 세포의 염색체 속에 들어 있는 우리 몸의 설계도인 유전체는 30억 개의 염기쌍으로 이뤄져 있으며, 아데닌(A), 티민(T), 구아닌(G), 시토신(C)의 염기가 쌍을 이뤄 배열돼 있다. 30억 쌍의 염기서열 중에 실제 생물학적인 기능을 지닌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 서열이 ...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무릎을 살짝 굽히는 것 같더니 그 반동으로 사뿐히 뛰어올라 앞에 놓인 상자 위에 두 발로 착지한다. 제자리멀리뛰기를 할 때처럼 두 팔도 살짝 위로 올라갔다가 착지와 동시에 제자리로 돌아온다. 쉬지도 않고 그 다음 상자 위로 바로 점프. 이보다 높은 상자 위에도 실수 없이 뛰어 오른다. 뒤돌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1998년 첫 모듈을 쏘아 올린 국제우주정거장(ISS)이 지금의 모습을 갖춘 건 2010년이었다. 2005년 완공하겠다던 계획은 2003년 우주왕복선 ‘컬럼비아’의 폭발 사고와 2008년 금융 위기 등으로 계속 미뤄졌다. 당초 ISS의 설계수명은 2020년이었다. 완공 10년 만에 미국과 러시아의 공동 작업을 통해 점 ... ...
-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전염병주식회사의 배경음악 ‘Ring Around the Rosie’를 들으며 시작합시다. 흑사병으로 죽은 아이를 묻으며 불렀다는 이야기가 있는 유럽 민요입니다. 장미를 뜻하는 ‘Rosie’가 흑사병의 증상인 발진을 의미한다는 거죠. 흑사병은 14세기 유럽에서 수천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전염병입니다. 민속학자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1452년 4월 15일 이탈리아 피렌체 근교의 빈치라는 마을에서 태어났다. 서자의 신분으로 태어나 공증인이었던 아버지의 성과 직업을 물려받지는 못했지만, 아버지는 그의 자질을 알아차리고 그를 피렌체에서 가장 번성한 공방에 입문시켰다. 그런 그가 본격적으로 이름을 ... ...
- Part 3. 지진에 버티는 건물을 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지진이 났을 때 가장 위험한 곳은?지난 2010년, 미국의 비영리 조사기관인 ‘지오해저드 인터내셔널’은 지진이 났을 때 가장 위험한 도시 20곳을 선정해서 발표했어요. 1위는 네팔의 카트만두였지요. 규모 6.0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100만 명 중 6만 9000명 정도가 목숨을 잃을 거라고 예측됐답니다.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