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계도"(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 이어 20세기 최고의 물리학자로 꼽히는 리처드 파인만은 1959년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에서 열린 미국물리학회 연차 총회에서 ‘바닥에는 풍부한 공간이 존재한다(There’s Plenty of Room at the Bottom)’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습니다. 아직까지도 많은 물리학자들에게 거론되는 이 ... ...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스티븐 호킹은 우주가 왜 존재하는지 연구한 이론물리학자였다. 그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기반으로 우주의 시공간이 빅뱅으로 탄생해서 블랙홀로 사라진다는 이론을 폈다. 또 이 이야기를 ‘시간의 역사(A Brief History of Time)’라는 책으로 펴내 대중에게 큰 인기를 누렸다. 호킹의 일대기를 ... ...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조선 후기 지금의 국무총리 격인 영의정에 8번이나 오른 최석정은 생전에 한 권의 수학책을 남겼습니다. 거기에 18세기 최고 수학자로 손꼽히는 레온하르트 오일러보다 먼저 발견한 직교라틴방진이 기록돼 있지요. 한평생 유학만 공부한 정치가가 어떻게 오일러보다 앞설 수 있었을까요? 애초에 마 ... ...
- [Issue] 노벨상 산실 가속기 누가 먼저 짓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한국의 중이온가속기, 중국의 전자양전자가속기, 일본의 선형가속기. 한중일 삼국의 가속기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1월 말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기초과학연구원(IBS)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 주관으로 열린 ‘2018 아시아 가속기·진단장치 포럼’에는 한중일 삼국의 차세대 입자가속기 책임자들 ... ...
- Part 2. 암호화폐 없는 블록체인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암호화폐는 신세계를 열어줄 것인가, 투기로 사회를 혼란에 빠트릴 것인가. 최근 암호화폐를 둘러싼 찬반 논란이 거세다. 양측은 기술적, 경제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상반된 주장을 하고 있다. 특히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의 관계에 대해서는 의견이 첨예하게 갈라진다. 암호화폐 없는 블록체인이 ... ...
- Part 3. 암호화폐 둘러싼 소문4, 진위 확인해 보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 편집자주 - 이 기사는 철저히 기술적인 관점에서만 암호화폐를 다뤘습니다. 경제학적인 관점에서 암호화폐의 가격 변동에 대한 부분은 배제했음을 알려드립니다. 2017년 8월, 200만 원대에 머물던 비트코인이 4개월만에 10배 가까운 2000만 원으로 가격이 뛰었다. 그리고 다시 두 달 만에 반 값 ...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텐, 나인, 에잇, 세븐, 식스, 파이브, 포, 쓰리, 투, 원, 제로!” 2월 6일 오후 3시 45분(미국 시간) 미국 플로리다 주 케이프커내버럴 케네디우주센터 39A 발사대. 카운트다운이 끝나자 ‘팰컨헤비(Falcon Heavy)’가 엄청난 굉음을 내며 발사대를 박차고 하늘로 솟아올랐다. 관제실에서는 흥분 섞인 함 ... ...
- [Future] ‘사이보그 동물’이 온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사람을 포함한 모든 동물은 에너지를 가장 적게 쓰면서 가장 효율적으로 살아가도록 수백, 수천만 년에 걸쳐 진화해왔다. 동물이 걷거나 뛰거나 나는 거대한 움직임은 사실은 아주 작은 신경세포 안팎을 이온들이 드나들면서 만든 신호에서 시작된다. 그것이 근육을 움직이고, 기관을 움직이며, ... ...
- [DGIST] 생체신호만 포착 세계 최고의 전자칩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저는 ‘회로장이’입니다.” 이정협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는 자신을 이렇게 소개했다. ‘회로장이’는 전자회로 전문가를 빗댄 표현이다. 그는 이 분야의 올림픽으로 불리는 ‘국제고체회로학술대회(ISSCC)’에서 3년 연속 논문을 발표한 ‘금메달리스트’ 출신이다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생명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인류가 탄생한 수백 만년 전부터 지금까지 풀지 못한 난제입니다. 과학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명 현상을 분석하려고 노력해왔습니다. 1970년대 DNA 염기서열 분석 기술이 등장하면서 그 길이 열리는 듯 했습니다. 인간게놈지도가 완성됐고, 여러 생물의 유전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