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d라이브러리
"
반사
"(으)로 총 2,022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만의 탐구방법을 개발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구했다. 비록 완벽하지 못한 실험이었지만 만족할 만한 결과가 나온 이유를 생각해봤다.
반사
파의 진폭이 그렇게 크지 못하더라도 판 위의 다른 위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동의 진폭이 줄어들고, 진동축 역할을 하는 필름지가 전체적인 판의 진동을 흡수해 진폭이 0에 가까운 지점에 나타날 수 ... ...
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하는 미생물과 식물이 태양에너지의 극히 일부를 이용할 뿐 대부분은 대기나 지표에서
반사
돼 다시 저 멀리 우주로 향한다. 따라서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를 ‘경제성 있게’ 활용하는 방법을 찾으면 인류는 에너지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다.석유 수준에 다가가는 경제성“지난해 세계 ... ...
황사보다 위험한 에어로졸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분포를 관측하는 데 쓰인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쏜 뒤 물체에 부딪혀 돌아오는
반사
파를 측정하는 장비다. 대기 중으로 쏜 레이저는 에어로졸 입자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산란의 형태가 변한다. 레이저가 산란 혹은 소멸되는 정도를 고도별로 측정하면 에어로졸의 종류와 분포를 알 수 있다 ... ...
라푼젤도 모르는 머리카락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바르는 모발용 자외선 차단제는 강한 빛을 낮은 에너지로 바꿔 흡수하고, 자외선을
반사
하는 역할을 한다.머리카락, 조사하면 다 나와!고델의 음모와 왕국 경비대의 추격을 따돌리고 마침내 왕국에 도착한 라푼젤과 플린 라이더. 밤이 되자 하늘 위로 등들이 하나 둘씩 떠오르고 있어요.“저 등 좀 ... ...
선글라스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바뀌기 때문에 서로 상쇄된다. 빛의 파장의 약 1/4 정도 두께라면 AR 필름에 입사한 두
반사
광은 상쇄 간섭을 일으켜 우리가 보는 눈부심을 최소화시킨다.3D 입체안경 만들어볼까편광 선글라스의 원리를 이용해 입체 영화를 볼 수도 있다. 바로 선글라스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 ...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형광을 발산한다. 이를 이용하면 원하는 물질만 선택적으로 형광을 내게 할 수 있다.
반사
자외선영상장치(RUVIS)로 ‘파장이 짧은’ 자외선(180~254nm, 1nm는 10억분의 1m)을 쬐면 증거물을 훼손하지 않고도 지문의 모양을 볼 수 있다.지문보다 더 정확하게 범인을 잡을 수 있는 증거는 DNA다. 사건 현장에서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캐나다 록키 산맥의 좁은 계곡에 낮게 깔린 구름이 비스듬히 들어오는 햇빛을
반사
시켜 이런 색을 만들어 냈다. 록키 산맥은 길이가 4830km로 캐나다 서부에서 시작해 미국 남서부까지 이어진다.] [눈 덮인 호랑이 아이슬란드 북부 해안의 산악 지형을 촬영한 모습이다. 주황색 땅에 검은색 그림자와 ... ...
모두가 승리한 로봇 축제 FLL 체험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세기에 따라 오차가 생겼다. 플라스틱 재질의 검은 판이 빛이 비치는 각도에 따라 똑같이
반사
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이를 조정하려면 센서의 감도를 적절히 조절해야 했다.이런 식으로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로봇을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단순하게 생각했던 인간의 행동이 얼마나 복잡한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3차원 형태를 측정하는 레이저 스캐너에도 쓸 수 있다. 원리는 같다. 레이저가 물체에
반사
돼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이용해 거리를 계산하는 것이다. 박 교수는 “3D 디스플레이 및 가상 마케팅 같은 새로운 시장이 생길 전망이라 원천 기술을 빨리 확보해야 한다”며 “앞으로 산업용 중장거리 ... ...
뱀눈 뜨고 악취 풍기는 생존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애벌레이다. 나무를 헤치고 산속으로 들어가다 보면 나뭇가지에 붙어 있던 놈들이
반사
적으로 툭 떨어질 때가 있다. 깜짝 놀라 얼른 손으로 툭 쳐서 떨어뜨려도 애벌레가 닿았던 곳에 심한 알레르기성 피부염이 생긴다. 잠깐 몸에 스치기만 했는데도 매우 쓰리고 가렵다. 심지어는 이미 죽은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