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d라이브러리
"
반사
"(으)로 총 2,022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은 번쩍! 얼굴은 반짝! 과학으로 쓰는 안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8호
뒤쪽에 있는 망막에 미세한 전극을 60개 심어야 한다. 안경에 달린 카메라가 사물로부터
반사
된 빛을 받으면, 이 빛이 신호로 바뀌어 망막에 심은 전극에 전달된다. 이어 시신경이 이를 감지해 뇌로 전달하면 사용자가 사물을 알아차릴 수 있는 것이다. 이 안경을 쓰면 아주 정확하게 볼 수는 없지만 ... ...
명탐정 코난의 과학사건 X파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6호
음파는 진동의 일종으로, 우리가 듣는 소리는 그 중 일부분이다. 음파는 물체에 부딪히면
반사
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이런 음파의 성질을 이용해 해저 지형을 관찰한다. 바로 배 위에서 음파를 쏘아 땅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신호를 분석하는 것이다."과학자들은 종종 바다 밑에서 ... ...
무지개 실종사건 사라진 무지개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4호
굴절,
반사
되어 생기는 현상이야. 파장이 가장 긴 빨간 색은 물방울에 약 42°의 각도로
반사
되고, 파장이 가장 짧은 보라색은 약 40°의 각도로 굴절되어 우리 눈에 들어온단다. 하나의 물방울에서는 한 가지 색만 우리 눈에 들어와. 그래서 알록달록한 무지개 색을 보기 위해서는 무수히 많은 물방울이 ... ...
아기와 생쥐, 같은 걸음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딛고 엉덩이 관절과 무릎을 굽혀 발을 반대편 발쪽으로 움직인다.연구팀은 신생아의 보행
반사
와 걸음마를 막 배우는 아기와 성인의 걸음걸이를 비교 분석했다.그 결과 신생아는 두 단계에 걸쳐 척수 뉴런이 활성화됐다. 신경계는 아기가 다리를 굽히거나 펴도록 명령을 내리고, 다리를 교대로 ... ...
Part 3. 뉴로피드백으로 명상 쉽게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조건
반사
회로가 만들어졌다는 말이다. 이것을 계속 반복하면 새롭게 만들어진 조건
반사
회로가 강화돼 습관화가 이뤄진다. 그러면 종만 쳐도 침을 흘리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특정 뇌파가 나올 때마다 이것을 알려주면 뇌에서 그 뇌파에 의한 회로가 발달되고 계속 반복하면 그 회로가 강화되어 ... ...
투명 인간 '보이눙게 업시옹'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투명인간 스텔스기 드디어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스텔스기가 개발됐다.“레이더파를 난
반사
시키기 위해 새로 설계했습니다.”“적외선을 줄이기 위해 엔진 배기구를 특수 설계했습니다.”“레이더파를 흡수하도록 특수페인트로 칠했습니다.”이제 멋지게 출동하는 일만 남았다. 그런데 이게 ... ...
“빛이 있으라” 진공에서 튀어나온 빛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부른다. 과학자들은 1970년대부터 가상 입자가 거의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거울에
반사
되면 실제 입자가 된다고 추측했다. 이를 동적 카시미르 효과라고 한다. 거울이 자신의 운동에너지 일부를 가상 입자에 전달해 물질화하는 것이다.연구팀은 빛의 속도에 가깝게 움직이는 거울 대신 거울 역할을 ... ...
신기한 광섬유 제작소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꺾어도 빛이 새지 않을 뿐 아니라 어떤 각도로 구부리든지 관계없이 전
반사
가 일어난다. 클래딩 안에 보통 클래딩보다 굴절률이 낮은 골을 만들어 광섬유가 휘어지더라도 유효굴절률이 변하지 않게 했기 때문이다. 한 교수는 “구부림강화광섬유가 상용화되면 인터넷 통신이나 IPTV를 더욱 편리하게 ... ...
도시는 초록빛 꿈을 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건축 | 프랑스 파리시가지 중심에 위치한 초현대식 건물의 벽면이 이채롭다. 거울처럼
반사
되는 유리와 자연스런 야생화, 꽃들이 대조를 이루며 건물을 감싸고 있다. 이제는 건축물도 개성시대다. 자연이 떠난 도시에 새롭게 자연을 데려오려는 노력의 결실이다. 사람은 자연을 떠나서 살 수 없기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피부처럼 시간이 흐를수록 불그스레해지면서 어둡게 변한다. 이렇게 되면 소행성 표면의
반사
스펙트럼이 완전히 달라지므로 비록 내부 물질은 운석과 동일할지라도 운석과 직접 비교를 할 수 없다. 결국 운석의 소행성 기원론은 심증만 있을 뿐 물증이 없었던 것이다.그런데 하야부사가 S-형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