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d라이브러리
"
물리
"(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용어 따라잡기] 크릴, 블랙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사람은 누구일까요? 미국 과학저술가 마르시아 바르투지아크는 어원을 추적한 끝에 미국
물리
학자 로버트 딕을 꼽았어요. 딕은 1960년쯤 이 천체가 사람이 살아나올 수 없기로 악명 높은 감옥 ‘캘커타의 블랙홀’과 비슷하다고 비유했답니다 ... ...
[수학뉴스] 숫자로 본 고갱과 르누아르 풍경화의 공통점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KAIST
물리
학과 교수와 한승기 충북대학교
물리
학과 교수팀은 시대별, 작가별로 풍경화의 구도를 수치화해 작품의 연대를 유추할 방법을 고안했습니다.연구팀은 16세기부터 21세기까지 1476명의 예술가가 그린 풍경화 1만 4912점을 디지털 이미지로 바꿨습니다. 그런 다음 그림을 수직이나 수평으로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슈퍼컴퓨터로 분석한 플라스마의 물성 데이터와 KSTAR에서 얻은 실험 데이터가 적용된다.
물리
엔진을 바탕으로 핵융합 실험로와 가열기, 냉각수 순환장치 등 핵융합 발전에 필요한 설비를 가상의 공간에 제작한다.실제 핵융합 발전소를 짓기 전에 KSTAR나 ITER 같은 핵융합 실험로를 만들어 장치가 ... ...
[기초과학의 힘] 고품질 그래핀 4층으로 쌓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지금까지 생각하지 못했던
물리
적인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필자를 포함한 IBS 나노구조
물리
연구단은 이렇게 다층 그래핀에서 특이적인 현상을 관찰하는 연구 또한 앞으로 계속 해나갈 계획이다 ...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인 258명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넘어 원격으로 독자들과 맞닿은 과학기술인도 많다. 대표적으로 김상욱 경희대
물리
학과 교수와 송민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연구원은 과학동아가 마련한 온라인 강연을 통해, 장규진 국제보건컨설턴트는 과학동아의 커뮤니티 사이트 ‘사이언스 보드’에서 독자들과 소통했다 ... ...
[이달의 책] 양자 물질? 그깟 거 내가 설명해 주지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는 10월 초가 되면 과학 기자들의 마음이 두근거리기 시작한다. 설레서라기보다, 수상 업적이 제발 글로 설명 가능한 연구이 ... 시대의 질문부터 그에 대한 답을 내고 있는 현대의 양자역학까지 총정리했다. 물질의
물리
학을 드디어 대중서로 만날 수 있게 된 것이다 ... ...
[수학뉴스] 코로나19 검사 비용 줄이는 방법은?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9 진단 검사 대비 약 20배 저렴한 검사법을 개발했습니다.닐 투록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물리
천문학부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기하학적 구조에 기반한 알고리듬을 코로나19 진단 검사에 도입했습니다. 이 방법은 검사할 표본을 여러 집단으로 나눈 뒤 각 집단의 검체를 한꺼번에 섞어 검사하고 양성이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외계
물리
학연구소장, 앤드리아 게즈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 천체
물리
학과 교수입니다. 이들은 각각 수학과 관측이라는 방법을 통해 블랙홀의 존재를 증명했습니다. 펜로즈 교수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위상수학’의 기법을 적용해 블랙홀의 존재를 ... ...
움짤, 과학자도 사랑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등의 세포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에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이론천체
물리
학자 제레미 슈니트만 연구원도 지난해 블랙홀 ‘M87*’이 공간을 얼마나 왜곡시키는지 보여주는 GIF를 십여 개 만들어 발표했어요.한편, 박종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각지능연구실장은 오류가 적다는 장점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뇌를 속이는 착시 현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이로 인해 전혀 다른 색을 본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킨 거예요. '이 현상은 1838년 독일의
물리
학자이자 철학자인 페히너에 의해 최초로 발견됐어요. 이후 영국의 과학자 벤함이 팽이를 이용해 설명했지요. 이 때문에 ‘페히너의 주관색’ 또는 ‘벤함의 팽이’라고 불리게 되었답니다. 팽이의 색과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