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착
고착
안정
붙박이
불변
부착
붙바기
d라이브러리
"
고정
"(으)로 총 1,798건 검색되었습니다.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달려 있다. 양 날개에는 갈고리 모양의 잔가시가 돋아 있어 교미할 때 암놈의 몸을
고정
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암놈이 낚싯바늘을 물면 수놈이 달려들어 교미를 하다가 낚시를 들어올릴 때 함께 끌려오는 경우가 있다. 암놈은 먹이 때문에 죽고 수놈은 색을 밝히다 죽는 셈이니 지나치게 색을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알고자 했다. 판의 절대 속도를 구하려면 판의 운동과는 독립적으로 외부에
고정
돼 있는 기준점이 필요하다. 과학자들은 지구 내부의 맨틀 깊숙이 위치한 마그마의 근원지인 열점이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내고, 그것을 판의 절대 속도를 구하는 기준점으로 사용했다. 과학자들은 ... ...
수학은 남자가 잘한다 vs 환경 탓이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많습니다. 여학생의 수학 점수가 낮은 이유가 ‘과학과 수학은 남자의 학문’이라는
고정
관념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실제로 남녀평등지수가 높은 스웨덴 같은 북유럽 국가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수학 성적이 비슷했습니다.진실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채 양쪽 의견은 서로 대립하고 있습니다. ... ...
민물고기 별별랭킹 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생겼어요. 또 물의 흐름이 빠른 곳에 살기 때문에, 물살에 휩쓸려가지 않도록 돌에 몸을
고정
시킬 수 있는 빨판이 입에 나 있어요. 배가사리강 바닥에 사는 배가사리는 바닥에 있는 먹이를 쉽게 먹을 수 있도록 입이 바닥을 향해 있어요. 입술에는 돌기가 있어서, 바닥에 붙어 있는 이끼를 긁어먹기에 ... ...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구조를 설치하는 데만 두 차례나 실패를 겪었다.2006년엔 발전소 철골구조를 해저 암반에
고정
하기 위해 기둥을 박을 자리를 파내던 중 굴착장비가 빠른 물살에 휩쓸려 진도대교와 충돌하는 사건이 있었다. 2007년엔 육지에서 만든 발전소의 철골구조를 발전소 설치 지점까지 배로 운반하던 중 배가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해상으로 돌출돼 있는 돌핀은 일종의 범퍼로 콘크리트로 만들어 바닷속 암반에
고정
시킨 구조물이다. 조성민 박사는 “10만t급 대형화물선이 속도 10노트로 충돌하더라도 교각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고 말했다.최근에는 장대교량이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자리잡으면서 경관 설계 또한 ... ...
겨레의 과학을 찾아서! 수원화성박물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것 같아. 함께 알아보자!거중기와 녹로 물리학을 응용한 건설 장비거중기(큰 사진)는
고정
도르래와 움직도르래를 4개씩 써서 작은 힘으로 물체를 들어올리는 장치야. 물체를 들 때 필요한 힘의 16분의 1만 있으면 들 수 있지. 크레인처럼 생긴‘녹로(작은 사진)’는 무게는 그대로 두고 힘의 방향만 ... ...
지구온난화의 원인은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쓰인 뒤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대기에 존재한다. 20세기 초 인간이 대기 중에 있는 질소를
고정
하는 방법을 개발한 후, 질소 비료는 거름을 대신하게 됐고 대단위 농업을 가능하게 했다. 농장에 뿌려진 질소 비료 중 일부는 대기의 산소와 반응해 산화질소가 됐다. 산화질소는 기권으로 이동해 대기 중 ... ...
“친환경 솔라보트 시대 주춧돌 되겠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구명조끼를 입은 팀원 두 명이 배를 양쪽에서 들고 물로 풍덩 들어갔다. 그들이 배를
고정
시키고 있을 동안, 팀에서 가장 가벼운(?) 조정은(충남대 선박해양공학과 3학년) 씨가 배에 올라타 배터리를 싣고 출발하기 위한 최종점검을 했다.드디어 출발. 솔라보트에 시동을 걸자 부드럽게 모터 소리가 ... ...
1. 생활 속 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조지 케일리 경이 처음으로 개발했다. 하늘에서 흔들리는 비행기에서 비행사를 좌석에
고정
시키기 위해서 만든 것이다. 자동차용 안전띠는 1885년 미국의 에드워드 클래그혼이 개발해 특허를 받았다. 1936년 세계 최초의 고속도로 ‘아우토반’이 등장하면서 안전띠는 점차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