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정
절차
순서
길
단계
노선
항로
d라이브러리
"
경로
"(으)로 총 1,538건 검색되었습니다.
빙글빙글 돌리면, 어떤 도형 될까?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세운 다음, 손가락으로 쳐서 동전을 회전시켜 보자. 동전이 움직이는 방향과
경로
에 따라 다양한 모양이 생긴다. 만약 동전이 제자리에서 돌면 동전의 지름을 회전축으로 하는 구가 되고, 동전이 움직이면서 회전하면 가래떡 모양의 원기둥이나 튜브 모양이 된다. 이렇게 회전축을 중심으로 ... ...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피해를 최소로 줄이려고 한다. 토네이도가 생기지 않게 미리 막거나 움직이는
경로
를 바꾸면 되지 않을까. 안타깝게도 전문가들은 “현재 과학기술로 전혀 불가능한 일이며, 만약 가능하다 하더라도 다른 지역에서 토네이도가 발생하거나 이동해 또 다른 피해를 낳을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그런데 ... ...
북극 빙산으로 아프리카 갈증 푼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30%는 이동 중에 녹는다. 연구팀은 빙산의 온도분포를 분석해 가장 적게 녹는 이동시기와
경로
를 결정했다. ◀ 3D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한 최적
경로
. 북극에 있는 그린란드 섬에서 아프리카 서쪽 카나리아 해역까지 이동하는 데 약 141일이 걸린다.][➊ ➋ ➌ ➍ 연구진은 빙산이 녹지 않도록 주변에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북서태평양지역에서 태풍이 발생한 위치와 시각,
경로
등을 체크하고 3일 뒤의
경로
와 위치를 예보한다.한국에서 발생했다는 토네이도 사례를 보면 공통점이 하나 있다. 대부분 바다에서 일어났다는 것이다. 이무기가 1000년을 기다린 끝에 하늘로 올라가 용이 된다는 전설을 믿은 옛날 사람들은 이 ... ...
Part 1. 공개! 해킹 범죄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팔기도 한다. 가입하지도 않은 게임 사이트에서 내 이름으로 아이디가 존재한다면 이런
경로
로 가입된 것이다.웹사이트 다운! 범인은 바로 경쟁사A회사가 새로운 신약을 공개할 예정이다. 그런데 비영리 공익 단체에서 신약의 부작용에 관련한 정보를 갖고 있었다. 이 정보가 공개된다면 회사는 큰 ... ...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남겼다. 또 그의 이름을 딴 해밀턴
경로
는 그래프에서 모든 꼭짓점을 단 한 번만 지나는
경로
를 의미하는데, 이는 네트워크나 통신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해밀턴은 이 같은 업적을 남길 만큼 당대 최고의 수학자였지만 소년 시절에는 시인을 꿈꾼 시인 지망생이었다. 당시 유명한 시인 윌리엄 ... ...
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최적화 해법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효율적인지를 알려주고, 휴대전화나 인터넷 같은 네트워크에서도 가장 효율적인 접속
경로
를 찾도록 돕는다.철사로 어떤 모양을 만들어 비눗물에 담궜다 꺼내면 ‘최소작용의 원리’에 따라 넓이가 최소가 되는 면적이 생긴다. 즉 비눗물이 만드는 비누막은 아무렇게나 생기는 것 같지만 자연은 ...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실존했어요. 하지만 실제로는 실패했습니다. 토네이도가 지그재그로 움직이는 탓에
경로
를 예측할 수 없었거든요. 우연히 토네이도가 지나가도 캡슐들이 바람에 튕겨나갔습니다.스파우트 박사: 지금은 도플러레이더를 이용해 폭풍구름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관측할 수 있어 굳이 성공 확률이 낮은 ... ...
Part 2. 해킹 Hacking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악성코드를 포함한 보안 위협들의 새로운 전파
경로
로 활용되고 있다. 트위터처럼 일정한 개수의 문자만 입력해야 하는 서비스에서는 주소를 링크할 때 단축 URL을 자주 이용한다. 그런데 자료의 출처가 모두 주소에 담기지 않다보니 이용자는 이 주소가 정상인지 확인할 ... ...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 고엽제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극미량이라도 발견됐다는 자체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다이옥신이 어떤
경로
로 농축됐는지를 적극적으로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경북도청으로부터 의뢰받아 캐럴 기지 인근 지하수를 검사한 장 교수는 “음용수 기준으로 검출 장비의 감도를 최대한 높여 분석했을 때 극미량의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