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박
반론
반박
논쟁
쟁론
공박
말다툼
스페셜
"
논란
"(으)로 총 81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2016.09.26
인류진화에 결정적인 계기가 됐음을 시사한다. 식단의 선악을 둘러싼 전문가들 사이의
논란
이 일반인들의 식생활에 별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같지만 그렇지도 않다. 정부의 권장식단이나 언론의 보도가 큰 작용을 하기도 한다. 달걀 노른자의 콜레스테롤이 몸에 좋지 않다며 하루 한 개 이상 먹지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
2016.09.19
해치지 않을 것이니 쓸모없다고 어찌 괴로워한단 말인가?” ● 상아 거래 양성화
논란
그런데 위의 에피소드가 꼭 인생사에 비유하기 위한 ‘쓸모’만 있는 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코끼리와 기린을 생각해보자. 동아시아에 사는 필자로서는 정말 이국적인 동물들로 몇 년에 한 번 동물원에 ... ...
[타운이 만난 사람-멘티편] 창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집단지성에 있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8.25
만들어 오던 회사에요. 천연성분으로 만든 친환경 제품이라 화학물질 유해성
논란
이 터질 때도 무사히 사업을 이어올 수 있었습니다. 에코후레쉬 이후 친환경 소비재로 사업 방향의 가닥을 잡고 100여 가지의 포트폴리오를 갖추기에 이르렀지요. 저의 결심과 네트워크의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한 ... ...
세균 싹~ 잡는다던 트리클로산, 왜 치약에서 사라졌을까
2016.07.31
치약이나 세안제 등에서는 사용이 금지돼 있다. 트리클로산은 최근 다른 의미로도
논란
이 일고 있다. 체내에 흡수돼 몸속의 미생물 생태계를 교란 시킨다는 의혹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블레이즈 볼즈 미국 미시건대 교수팀은 트리클로산을 사용하는 동안 사람의 혈청과 오줌, 모유 등에서 높은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논문의 데이터가 너무 이상적인 게 손을 댔다는 증거라고 주장하며 멘델 실험 조작
논란
이 시작됐다. 예를 들어 표현형이 다른 두 순종(둥근 완두콩(RR)과 주름진 완두콩(rr))을 교배해 1세대에서 잡종(Rr, 전부 우성인 둥근 콩 표현형을 보임)을 얻은 뒤 잡종끼리 교배해 2세대를 얻으면 둥근 콩과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2004년 발굴 논문을 쓸 때 좀 더 면밀히 살펴봤더라면 호빗을 둘러싼 소모적인 현생인류
논란
은 일어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네이처’ 6월 9일자에는 관련 기사도 실려 있는데 2012년 마지막으로 발굴현장을 찾은 모우드 교수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당시 전립선암이 많이 진행된 상태의 모우드는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6.12
사이의 어긋난 지점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한 것이어서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논란
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과학계에서는 이번 논문 역시 ‘양자역학적 일반상대성이론’에 이르기에는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
어디서 홈런이 더 잘 나올까?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6.08
말이 나온다. 실제로 고척 스카이돔을 처음 만들 때도 홈구장을 쓰는 구단의 이점에 대해
논란
이 많았다. 06,07 시즌 이승엽이 각각 22개, 18개의 홈런을 친 도쿄 돔구장. 사방이 꽉 막혀있는 돔 구장은 온실 효과 덕분에 내부 공기가 빠르게 더워진다. 더운 공기가 대류 현상에 따라 천장으로 ... ...
화학물질을 거부하라?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6.08
적절히 통제하기란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어렵다. 최근 가습기 살균제 후폭풍으로
논란
이 되었던 다림질 보조제에는 폐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과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 외에도 화학물질이 84종 포함된 것으로 분석됐다(한국환경산업기술원 조사). 그러나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면과 부정적인 면을 균형있게 평가해온 영국 케임브리지대 마이클 마제루스 교수는
논란
이 창조론자들에게 이용되는 수준으로 비화하자 대규모 재현 실험을 진행했다. 즉 2001년부터 2006까지 6년 동안 깨끗한 숲에 얼룩나방 4864마리를 풀어준 뒤 잡아먹히는 비율을 조사했다. 그 결과 하루가 지날 때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