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박
반론
반박
논쟁
쟁론
공박
말다툼
스페셜
"
논란
"(으)로 총 81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역시 문제 아닐까. 에임스 교수의 논문 두 편을 읽으며 이런 편협한 시각으로 종합영양제
논란
을 바라본다는 것은 평생 이 분야에 헌신해 온 연구자들을 모욕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샥스핀이야 고급 요리에나 들어가는 것이라 서민들은 먹을 기회도 없고 상어 학살
논란
도 있고 해서 먹지 않는 사람도 많다는 게 그나마 다행이다. 미국의 유행병학자 레너드 컬랜드는 1953년 괌 현지에서 리티코-보딕의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1960년대 소철 씨 분말인 파당을 ... ...
[팩트체크] 어설픈 과기계 캠코더 인사 의혹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18.09.05
역시 사실과 다른 주장이다. 반면 정권 교체 이후 줄줄이 기관장이 사퇴해 표적감사
논란
을 빚은 한국과학창의재단과 한국연구재단,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등은 이번 캠코더 인사 의혹에서 비껴갔다. 이에 대해 신용현 의원은 “전수 조사이긴 하지만 모든 의원이 참여한 것은 아니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 추정)을 2016년 수준인 34.8%로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먹방 규제’가 부각되면서
논란
이 됐고 국가가 국민의 뱃살까지 간섭하느냐는 비난도 일었다. 리버먼 교수는 책에서 이런 개입이 불가피하다고 말한다. 그는 “편안하고자 하는 본능이 더 현명한 판단을 이기는 것이 인간 ... ...
[팩트체크] 옥중단식·수사압박으로 알츠하이머병 걸릴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당시 총괄회장)은 그의 의사능력을 두고 재판부와 변호인 측의 엇갈린 의견이 오가면서
논란
에 휩싸였다. 신 회장이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변호인 측은 공판 절차 정지를 요청했으나 재판부는 신 회장이 ‘누가 나를 기소했냐’ ‘롯데는 다 내 재산’ 등을 말한 ... ...
[남북협력 시나리오]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
과학동아
l
2018.06.11
북한이 사용후핵연료를 수조에서 보관하는 이 기간 동안 세계적으로 오히려 안전
논란
이 불거졌다. 송 연구위원은 “북한의 핵연료봉은 피복관이 마그네슘 성분이라 부식이 심하다”며 “1년 이상 보관하려면 수조의 상태를 최상으로 관리해야하는데 당시 북한의 기술수준이 그렇지 못했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해서 그 사람의 모든 주장을 거부할 필요는 없다. 밀가루 글루텐의 유해성은 여전히
논란
중이다 - GIB 제공 밀가루 음식 섭취를 확 줄여 보니... 필자는 평소 알레르기 비염 증세가 있고 봄가을 환절기에 심해진다. 이비인후과에 가도 코를 시원하게 뚫어주는 처치를 하고(얼마 못 가 다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쏟아부을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 글의 마무리는 3년 전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논란
때와 비슷하다. 설사 성인 신경생성이 일어나지 않더라도, 즉 ‘네이처’ 논문이 맞더라도 뇌를 건강하게 유지하려는 노력(숙면, 독서, 운동)을 게을리하지 말아야겠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현생 인류, 이웃 종 데니소바인과 적어도 2번 교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6
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분석해 왔다. 그런데 최근 이 같은 상황에
논란
의 불씨를 던지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미국 워싱턴대 생물통계학과 샤론 브라우닝 교수팀은 전체 유전자(DNA) 분석비교법을 통해 크로마뇽인과 데니소바인 등 두 종에서 두 번의 유전적 교차점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최근 수년 사이 감귤류의 게놈이 해독되면서 이런
논란
이 정리되고 족보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귤은 사람으로 치면 아시아인이나 유럽인 감귤류 게놈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결과는 지난 2014년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7월호에 발표됐다.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