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식
감식
구별
차별
인종차별
남녀 차별
이해
뉴스
"
식별
"(으)로 총 771건 검색되었습니다.
해킹용 ‘와이파이’ 한 번에 찾아낸다
2015.06.29
ETRI)이 새롭개 개발한 불법복제 AP
식별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 화면상에서 보이는 무선 신호의 고유한 특성을 비교하면 주변 AP의 불법복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무선인터넷을 쓰려면 주변에 무선공유기(AP)가 있어야 한다. 이 점을 악용한 해커들은 불법으로 복제한 ... ...
뽀샵으로 위조? 딱 걸렸어!
2015.06.12
이런 의혹에 입을 다물었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이미지 위·변조
식별
프로그램으로 이 사진을 확인한 결과 미사일 3기에서 발사 연기 등 이미지를 복사해 붙인 것으로 의심되는 부분이 드러났다. 이흥규 KAIST 전산학과 교수팀은 디지털 이미지가 위·변조됐는지 온라인에서 바로 ... ...
장수하는 식습관, 먹이사슬 중간단계 생선이 몸에 좋다? 이유 보니
동아닷컴
l
2015.05.27
덜 오염되기 때문에 보다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장수하는 식습관 네 번째는 원재료를
식별
할 수 있는 상태로 조리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다. 음식을 완전히 가공하고 나면 원재료의 상태가 어땠는지 알기 어렵다. 장수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원재료의 모습을 알아볼 수 있는 상태로 조리해 먹는다 ... ...
우리는 현역 검사, 그리고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2015.05.15
짜릿한 경험을 맛봤다. 한 변호사가 개인정보의 정의에 대해 ‘개인정보가 암호화되면
식별
이 불가능한 만큼 개인정보로 볼 수 없다’는 취지의 주장을 펼쳤고, 그 순간 주 검사는 수업에서 배운 암호의 개념을 떠올렸다. 주 검사는 “암호를 풀 수 있는 비밀 키를 갖고 있고, 암호가 쉬워서 누구나 ... ...
셜록도 혹한 ‘미생물 포렌식’을 아시나요?
2015.05.15
가지며, 1년 이상 시간이 흘러도 그 값이 거의 변하지 않아 지문이나 홍채처럼 개인을
식별
할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내용을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1일 자에 발표했다. 프랜조사 박사는 “실험에 참가한 242명 중 80%는 1년 전에 채취한 미생물 조성 표본만으로 신원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고 ... ...
드라마 ‘냄새를 보는 소녀’, 냄새 정말 볼 수 있나
2015.04.24
잘 맡는 것으로 드러났다. 박찬규 건국대 동물생명학과 교수는 “후각 능력은 냄새
식별
능력, 냄새에 대한 민감도 등 복합적으로 결정되는 만큼 냄새의 종류나 후각 수용체 유전자 수만으로 판단하기는 힘들다”면서도 “드라마 설정상 주인공은 개 이상의 후각 능력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고 ... ...
PDF문서에 숨은 개인정보, 클릭 한 번에 지우세요
2015.04.08
KISTI) 제공 흔히 ‘PDF 포맷’이라고 부르는 전자문서에 담긴 개인정보를 자동으로
식별
하고 제거해 주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정보공개 시대를 맞아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는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신용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R ... ...
55cm 물체도
식별
… 적외선 탐지기능 갖춘 ‘한국의 눈’ 우주 올랐다
2015.03.27
55cm 크기로 구분해 인식한다. 이 정도 해상도면 우주공간에서 지상에 사람이 서 있는지
식별
할 수 있다. 기존 위성에 비해 더욱 정밀한 영상을 얻기 위해 임무 궤도도 낮췄다. 아리랑3A호의 임무궤도는 528km로 685km에 자리 잡은 아리랑3호보다 100km 이상 낮다. 그만큼 지구를 도는 속도도 빨라지기 ... ...
위조 불가능한 ‘인공 미세지문’ 개발
2015.03.25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휴대용 현미경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으로도 인공 미세지문을
식별
할 수 있다”며 “3년 내 실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우주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주파수 전쟁’
2015.02.13
동원해도 375MHz가 한계였다. 결국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차선책을 짜냈다. 아리랑 3호의
식별
신호부터 주고받은 뒤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수집하는 방식을 새로 개발했다. 인공위성이 사용할 주파수 부족 사태가 세계 각국의 ‘주파수 전쟁’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우주 상공 500km 아래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