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정"(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기술을 적용해 범인을 검거하는 성과를 올리고 있다. 2 DNA 메틸화 분석 사람마다 DNA의 특정 부위가 메틸화되는데, 생활습관 등에 따라 메틸화의 위치나 정도가 달라진다. 이를 활용해 범인의 나이나 생활습관, 그리고 DNA가 어느 조직으로부터 유래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3 빠른 DNA 감식구강 ... ...
-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결합하는 부위를 찾아내는 DNA 풋프린팅 기법으로 저산소 상황에서 활성화되는 DNA 부위에 특정 단백질이 붙는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그리고 후속 실험을 통해 마침내 산소농도가 감소할 때 DNA 부위에 결합하는 단백질 복합체를 찾아냈다. 그는 이 단백질을 ‘HIF(Hypoxia-Inducible Factor)’라고 명명했다 ... ...
- 돼지가 인간 췌장 가진 쥐 출산? 불붙은 키메라 배아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배아에 이식하는 연구에 대해 정부의 승인을 얻었다. 다만 일본은 키메라 배아에서 특정 장기를 키워 대리모 동물에서 출산하는 시험까지 허용하는 반면, 우리 정부는 장기 배양까지만 허가하고 있다. 건국대가 2014년 만든 면역결핍돼지는 면역세포 발달에 필수적인 ‘재조합활성유전자(RAG2)’와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이파리 모양의 비밀수학동아 l2019년 11호
- 힘과 속도처럼 크기와 방향을 가진 물리량이고, 극성 장은 식물을 구성하는 물질이 특정 부분에 쏠려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극성 장을 벡터처럼 크기와 방향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코엔 교수는 극성 장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잎 세포가 성장하고, 일부 잎 세포가 상대적으로 더 커지면서 ... ...
- 호금조, 다양한 머리 색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조절하는 유전자를 알아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조류의 성염색체인 Z염색체 안의 특정 부위에 빨강, 검은 머리를 결정하는 유전자가 있단 사실을 확인했지요. 셰필드대학교 김강욱 연구원은 “지금까진 주로 생태계를 관찰해 진화를 파악 했지만, 이번 연구는 유전자를 분석해 호금조 진화에 ...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동시에 관측한 장점을 살려 천체의 입체적인 공간분포를 더 정밀하게 관측한 결과, 특정 전파가 바깥쪽에서 더 많이 나오는 비대칭형 구조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doi: 10.1038/s41467-018-04767-8한국보다 먼저 구축된 해외의 전파망원경에는 이런 동시 다주파수 관측 시스템이 없다. KVN의 동시 다주파수 관측 ... ...
- 인공지능은 인간지능을 넘어섰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만든다. 그리고 코버트에게 빈칸을 채우게 한 뒤 정답과 비교해 정답만 학습하게 한다. 특정 문장에서 일부 단어를 지우고 빈칸으로 만든 뒤 빈칸에 들어갈 단어를 찾아보라고 질문하는 방식으로 학습시킨 것이다.코버트는 개별 독해, 주어진 한글 문서에 대한 주제 분류, 문장의 유사도 추론, 문장 ...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연대 측정의 혁명 가속기 질량 분광분석장치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이온별로 방사성동위원소가 갖는 질량과 전하량의 차이에 따라 또다시 걸러집니다. 이때 특정 조건을 가하면 측정하고자 하는 방사성동위원소만 검출기에 도달하게 됩니다.AMS는 시료에 있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직접 측정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 방사성동위원소가 붕괴할 때 발생하는 ... ...
- [수학뉴스]키리가미로 어떤 모양이든 만들 수 있다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종이를 접어서 입체를 만드는 종이접기와 달리 키리가미는 평면 형태의 물체를 특정 패턴으로 잘라 유연성에 변화를 줘 입체를 만듭니다. 락쉬미나라야난 마하데반 미국 하버드대학교 응용수학과 교수팀은 키리가미 테셀레이션으로 원하는 모양을 설계할 수 있는 패턴을 만드는 방법을 찾았습니다. ... ...
- [수학뉴스] 새로운 관점으로 난제를 해결한 수학자, 윌리엄 서스턴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시도한 것입니다. 서스턴은 아무런 관련이 없어 보이는 여러 분야를 연관 짓는 방식으로 특정 조건 아래에서 문제를 부분적으로 해결했습니다. 기하화 추측은 20년 후인 2003년 러시아의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이 푸앵카레 추측과 함께 완벽하게 증명합니다. 서스턴의 새롭고 독창적인 문제 해결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