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정"(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시퀀스)을 알아채고 이를 잘라낸다. 크리스퍼-캐스9와 같은 유전자 가위 기술은 DNA의 특정 시퀀스를 인식하는 능력을 활용한 것이다. 인간의 염색체는 약 30억 쌍의 DNA 시퀀스로 구성된 매우 복잡한 구조여서 필요한 부위를 정확히 잘라내고 원하는 유전자로 바꾸는 작업이 쉽지 않다. 그간 크리스퍼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연구할 때는 주로 특정 유전자가 작동하지 못하도록 아예 제거한 녹아웃(knockout) 쥐나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낮춘 녹다운(knockdown) 쥐를 사용한다. 고 교수팀은 이런 쥐들을 직접 제작해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시냅스 접착 단백질의 경우 생명 유지나 뇌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아, ... ...
- [포토뉴스] 상관관계가 보이는 수학 그림의 모습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반복적인 기호 그림(symbolic recurrence plots)’을 개발했습니다.반복적인 기호 그림은 특정 현상이 발생한 빈도수를 좌표에 나타낸 겁니다. 예를 들어 연구팀은 총기 사용에 대한 법률 제정을 다룬 기사의 수와 실제 총기의 판매량 사이의 연관성을 그림으로 나타냈습니다. 2003년 1월부터 2015년 6월까지 ...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탄소동위원소 비율을 조사해 946년 하반기 백두산이 분화했다며 분화 시점까지 특정했다. 당시 분화는 규모가 커 ‘밀레니엄 대분화’로도 불린다. doi: 10.1016/j.quascirev.2016.12.024 현재 화산학자들은 홀로세(Holocene·약 1만1700년 전부터 지금까지)에 한 번이라도 분화하면 활화산으로 규정하고 있다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움직임으로 결과를 만들어내는 ‘모빌리티(mobility·운동성)’ 기능이다. 둘째는 인간이 특정 작업을 입력 했을 때 스스로 판단해 작동하는 ‘오토노미(autonomy·자율성)’ 기능이다. 오 교수는 “휴보의 팔을 이용하면 커피를 만드는 협동로봇을 만들 수 있고, 휴보 다리에 바퀴를 달면 세그웨이가 ... ...
- 아이유도 쓰네,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노이즈 캔슬링이 주변의 소음을 전반적으로 줄이는 기술이라면 AEC는 여러 파동 중 특정 파동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다. 노이즈 캔슬링과 기본 원리는 같다.A와 B가 분리된 공간에서 각자 마이크에 대고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각 공간에는 마이크와 스피커가 설치돼 있다. A가 ... ...
- [수학뉴스] 테렌스 타오 교수 덕에 빛을 본 고유 벡터 연구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벡터를 알 수 있는데요, 이때 복잡한 공식을 이용합니다. 타오 교수는 물리학자들이 특정 방정식을 이용해 중성미자의 상태가 어떻게 변하는지 나타내는 행렬의 고윳값으로 고유 벡터를 찾는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그 뒤 중성미자와 관련된 행렬뿐 아니라 다른 행렬에도 이 방정식을 이용할 수 ... ...
- [매스크래프트] 할그림스키르캬, 마크로 적분 배워봤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수 있도록 수식화한 방법으로, 함수의 그래프를 그렸을 때 끊어지는 부분이 없다면 특정 구간에서 그래프와 x축이 만드는 영역의 넓이를 구할 수 있죠. 이때 리만은 상한과 하한이라는 개념을 사용했습니다. 그림①을 보면 그래프 안쪽으로 만든 직사각형과 바깥쪽으로 만들어진 직사각형이 ... ...
- [Go! Go! 고고학자] 닭을 처음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어쩌면 고양이가 인간을 길들였다고 생각하지는 않을까요? 용어정리*인장 : 특정한 문자나 무늬를 표현하기 위해 재료에 새겨 찍도록 만든 일종의 도장 ... ...
- [통합과학교과서] 늑대의 반성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분비하는 내분비기관이랍니다. 이곳에서 분비된 호르몬은 혈관을 타고 움직이다가 특정 호르몬을 받아들일 수 있는 수용체를 갖춘 세포를 만나면 그곳으로 들어가 신호를 전달하지요. 호르몬은 우리의 기분과 같은 정신 활동은 물론, 우리의 신체 활동도 좌지우지해요. 사람이 잠을 잘 때, 소화를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