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자
옮겨심기
이종
이주
이전
적립
축재
d라이브러리
"
이식
"(으)로 총 836건 검색되었습니다.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애당초 근대적인 의미의 과학기술이 일본의 필요에 의해 기술 일부 분야만 기형적으로
이식
된 형태였던데다가, 60년대 이후 수출산업의 성장으로 우리나라에서도 공업의 발전이 이루어지지만 기술의 성장은 주로 해외기술의 이전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정부나 기업이 모두 이미 얻어온 선진기술을 ...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혈소판은행을 설치했다. 여기서는 주로 HLA항원형 검사를 실시하는데 이 검사결과는 장기
이식
이나 혈소판 수혈 등 성분수혈을 할 때 결정적인 자료가 된다. Rh식 ABO식 혈액형이 같다고 해서 무작정 남의 피를 수혈받는 것을 일종의 자살행위. 같은 혈액형일지라도 세포면역체계가 다르면 수혈시 ... ...
잘못 알고 있는 「코피상식」많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방법으로는 코피를 멎게 할 수 없다. 따라서 출혈을 자주 일으키는 점막 부위에 대한 피부
이식
수술 등 비상한 방법을 동원하기도 한다.지속적이고 심한 코피는 고혈압의 초기증상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혈압은 손쉽게 잴 수 있으므로 고혈압이 확인되면 일단 출혈을 멎게 한 뒤 고혈압치료를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어디에 가 있는 것일까.만약 미래에 두뇌를 심하게 다쳐 다른 사람의 뇌를 머리속에
이식
한다면 그 사람은 나일까, 아니면 다른 사람일까. 나의 기억이 손상을 받아 5초만 지나도 다 잊어버린다면 나의 인격과 인간성은 어떻게 유지될까. 언어중추에 손상을 받아 심한 실어증에 빠졌을 경우 우리는 이 ... ...
국내에서도 차세대 구리 레이저가 활동중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이들 질환은 레이저가 등장하기 전까지 난치성 질환으로 꼽히고 있었다. 간혹 피부
이식
수술 등이 행해지기도 했으나 비용이 엄청나 거의 손을 대지 못했다.한편 파장이 5백11㎚인 녹색 레이저빔은 구리 레이저의 개성을 한껏 빛내주고 있다. 다른 레이저로는 대처하기 어려웠던 검은색 또는 갈색의 ... ...
푸른 장미의 등장은 시간문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이미 몇몇 후보를 찾아냈다. 다음으로 우리가 할 일은 이 '푸른'유전자를 붉은 장미에
이식
시킨 뒤 과연 푸른 장미가 피는가를 지켜보는 것이다."이 계획에 참여한 분자생물학자 에드위나 코니시의 말이다.연구팀은 곧 이 '푸른'유전자를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페시엔스라는 박테리아에 삽입시킬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쥐에서 기능에 대한 기억물질이 RNA핵산임을 밝혀냈다. 또 이 물질을 다른 쥐에
이식
하는데 성공함으로써 기억도 옮겨질 수 있음을 증명했다. 이러한 지식이 더욱 개발돼 궁극적으로 인간에게 적용될 때 몇 십년에 걸친 학교교육도 기억은행에 보관돼 있는 기억물질의 주사로 간단히 대체될 수 있을 ... ...
PARTⅡ 실생활에 어떻게 사용되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농업적 이용에도 많은 관심을 두고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미 수정란
이식
기술이 실용화돼 인공쌍둥이젖소를 생산해냈다. 또 슈퍼생쥐와 같은 형질전환동물(transgenic animal)도 성공적으로 만들어냈다.유전공학센터에서는 인공종자 개발에 주력을 두고 농업분야의 연구를 착수했다. 그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프라이온은 슬슬 그 정체를 드러내게 될 것이다. 나아가 이 유전자를 집어넣어 준 유전자
이식
실험동물이 만들어지거나 실험실 내에서 배양이 가능한 숙주세포가 개발된다면 프라이온의 신비는 완전히 사라지고 말 것이다.요컨대 이런 알맹이있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단계가 되면 이 오리무중의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비행기사고로 사망해 아깝게 노벨상을 놓쳤다. 토머스박사는 60년대초부터 골수
이식
수술을 연구해 백혈병과 재생불량성 빈혈 등 면역체계의 질병에 대한 치료법을 확립했다. 노벨 의학·생리학상이 기초의학이 아닌 임상분야에서 나온 것도 오랜만의 일이다.올해의 노벨상은 미국이 휩쓸었다.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